earticle

논문검색

<田園四時歌> 終章의 統辭構造와 意味機能 考察

원문정보

Syntactic structure and meaning function of last verse in Sijo <Jeonwonsasiga>

<전원사시가> 종장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고찰

金成紋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yntactic structure and meaning function of the last verse of the Sijo using the long Sijo titled “Jeonwonsasiga" authored by Sin Gye-Young (pen name: Seonseok). May studies have been made on Sijo (Korean traditional poem) works and accomplishments have been made to a certain extent. This applies to the last verse of the Sijo. However, as the detailed checking was needed for the special syntactic structure and its meaning in the last verse of Sijo,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format of Sijo or 3 verses, 6 sections and 12 sound paces is a proper type for realiz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ijo through the flow, conversion and finishing of ideas through it. The core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ijo is closely related to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last verse of Sijo. Accordingly,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syntactic structure, it is imperative to closely look at the functions of each structural parts of the last verse. For this purpose, the syntactic structure and its meaning have been studied as follows on the 4 sound paces constituting the last verse of Sijo. First, the first sound section usually displays the exclamatory words. It has been deemed to help to effectively convert the poem's idea. Next, in the second sound pace, it is characterized that is shows uniquely the over sound pace among 12 sound paces. Usually the first sound pace usually made of 3 and 4 sound parts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Sijo. In the second sound pace of the final verse can plan a change through the over sound structure made of 5 sound parts or more. In addition, it has been deemed to more distinguish the conversion of the 1st sound pace. It show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from other sound sections as in third and second sound paces. When each verse of Sijo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one Sijo has 6 sections. In that case, it is found at the 6th section that there is a reverse of sequence such as “ordinary sound pace small sound pace" where the front sound pace is bigger than the last sound pace. The author tried to understand that by proposing that, the third sound pace has the function of the speaker's expression of the intention. If the last sound pace can be compared to the finishing words of a sentence, the third sound pace in the last verse can be said as the part for expressing the cores of the speakers. For this purpose, it can be said that the third sound pace of the last verse of Sijo gets the structure of ordinary sound pace. In addition, this front long and rear short structure made a critical role in preparing the finish of the Sijo by making its intonation form going up to going down. Finally, the fourth sound pace is the section where the idea of the Sijo is finished. In case of Jeonwonsasiga, it has been studied in relation to the first three sound paces by defining it into three types of ‘exclamatory finishing', ‘ordering finishing' and ‘will finishing' for studies.

한국어

본고는 시조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종장의 율격에 초점을 맞추어, 그 통사구조와 그 의미기능을 仙石 辛啓榮이 남긴 연시조, <田園四時歌>를 중심으로 하여 살피고자 한 시도이다. 시조에 대한 연구는 선 학들에 의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로 많은 부분에서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는 종장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하지만 필자는 종장이 지닌 특유의 통사적 구조와 그 의미기능 을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하여 다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3장 6구 12음보로 정리되는 시조의 정형성은 시상의 흐름과 전환, 그리고 이를 통한 종결이라는 미학 을 실현하기에 적합한 양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시조의 미학적 특질의 핵심은 시조의 종장이 갖는 통 사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따라서 이러한 통사구조가 갖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조 적 단위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함께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시조 종장을 구 성하는 4개의 음보들이 갖는 통사구조적 특징과 그 의미기능을 아래와 같이 고찰하였다. 먼저 제 1음보는 통사적으로 감탄적 시어를 주로 배치하는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이는 시상의 효과적 인 전환을 모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제 2음보의 경우에는 시조의 열 두 음보 중에서 유일한 과음보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대체로 3・4음절 내외 로 이루어지는 시조의 1음보는 지속을 통한 시상의 전개에 관여한다고 볼 수 있는데, 종장 제 2음보에 서는 5음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과음보의 구조를 통해서 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제 1 음보의 전환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기능을 아울러 수행한다고 보았다. 제 3음보는 제 2음보와는 다른 측면에서 독특한 모습을 지닌다. 시조의 각 장을 2개의 구로, 즉 시조를 6개의 구로 나누어 보면, 제 6 구에서만 앞의 음보가 뒤의 음보보다 큰 ‘평음보-소음보’의 역전된 구조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러한 이유를 종장 제 3음보가 지니는 시적 화자의 의지표명의 기능에 얹어 해명하 고자 하였다. 시조의 제일 마지막 음보를 문장의 종결어미에 견주어 볼 수 있다면, 종장 제 3음보는 화 자가 이르고자 하는 핵심적인 내용, 즉 의지를 표명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시조의 종 장 제 3음보는 의도적으로 평음보의 구조를 취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장후단의 구조는 마지막 6구의 분위기를 ‘상승 → 하강’으로 도치시킴으로서 작품의 종결을 예비하는 기능을 함 께 수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끝으로 제 4음보는 시상이 종결되는 곳으로 <전원사시가>의 경우에 있어서는, 앞선 제 3음보와의 관련성 속에서 ‘감탄형 종결’, ‘명령형 종결’, ‘의 지형 종결’의 셋으로 그 유형을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緖論
 Ⅱ.<田園四時歌>終章의 統辭構造와 意味機能
  1.제 1음보의 감탄적 시어와 시상 전환
  2.제 2음보의 과음보와 변화
  3.제 3음보의 평음보와 의지표명
  4.제 4음보의 시상 종결
 Ⅲ.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金成紋 김성문. 중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