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제발표

韩国内孔子学院的运营状况及效果 - 한국내 공자학원의 운영 실태 및 효과 -

원문정보

한국내공자학원적운영상황급효과 - 한국내 공자학원의 운영 실태 및 효과 -

钱兢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중국 경제 성장에 따라 국가 위상이 높아지면서 많은 국가에서 중국어열풍이 나타나고 있 다. 세계가 인터넷시대에 접어들면서 언어 또한 중요한 문화자원의 일환으로 형성되고 있 다. 중국국가한반과 전국 각지대학교가 합작하여 2011년 현재까지 96개 국가와 지역에 322 개 공자학원과 369개 공자교실이 개설되었다. 2004년 11월 전 세계적으로 처음 공자학원을 서울에 설립하였다. 2011년 9월 현재까지 한국에 이미 17곳 공자학원과 5개 공자교실이 설 립되어서 한국에서의 중국어와 중국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정부가 세계 각국에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급하여 세계인들로 하여금 한국을 더욱 이해하도록 하기위해서 2007년부터 세종학당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세종학당은 한국문화체육 관광부에서 출자하여 각국의 시민들이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소개를 무료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현재까지 한국은 이미 16개 국가에 28개 세종학당을 건립하였고 그중 중국에 10개의 세종학당을 설립했다. 본 논문은 한국내 공자학원 중국어교육 상황, 문화 활동의 상황, 공자학원과 세종학당의 비교 이 세 가지를 통해 한국내 공자학원의 운영실태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공자학원 중국어 교육 활동은 세부분으로 나눠진다: 교내 중국어 교육활동, 지역사회 중국 어 교육활동, 초중고생 중국어 교육과 교사 인재 양성 활동 등으로 나뉜다. 문화 활동 방면 에 있어서 중화 전통 문화전시, 중국 문화 현장답사, 중국문화 참여와 경연대회 활동 등 유 형으로 주력했다. 세종학당의 창립배경은 국외의 한국교육시장과 국내의 한국교육시장 양방면으로 분석 할 수 있다. 한국교민 및 “한류” 열풍의 영향 받은 외국인, 국내 증가하는 다문화가정, 외국 인 노동자들의 한국취업 또는 외국 유학생이 많아짐에 따라, 이들은 모두 한국어 학습과 한 국 문화 이해가 필요하다. 세종학당은 국내와 동시에 국외에도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 여, 세계 각국의 사람들에게 한국문화 이해를 증진한다. 공자학원 같은 경우, 국외에만 설 립하였을 뿐, 중국내에 있는 외국인과 소수민족에 대한 한어교육은 겨냥하지 않았다. 중국 해양대학교 세종학당은 중국에서의 세종학당의 운영현황을 보여주고 있는 한 사례이 다. 언어 교육 과정은 초급반과 중급반으로 나누고 학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가르치고 있 고 한국사회와 문화에 대해도 소개한다. 또한 ‘세종강단’을 개설하여, 수강생들에게 있어 한국사회와 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양측 협력 상황으로 볼 때, 한국 내에 있는 공자학원은 주로 중외대학간의 협력을 채택하 였지만, 중국내에 세종학당은 한국문화관광부, 한국 국립국어원과 중국 교육기관과의 협력 유형을 채용하였다. 관리 패턴으로 볼 때, 공자학원은 외국을 위주로, 양측이 공동으로 관 리하는 특징이 있다. 지도자는 양측이 평등하고 서로 이익을 주며, 원장은 다수가 외국 측 에서 맡아서 하며, 중국 측은 부원장을 맡아 일을 한다. 각각의 장점을 발휘하여 공동으로 공자학원의 일을 담당하고 있다. 국내의 세종학당은 한국어세계화재단에서 총괄하여 관리 한다. 국외의 세종학당은 각국의 현지대학 또는 기구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채용 하였다. 공자학원의 문화 활동의 내용을 보면, 전통문화의 색체가 비교적 짙고, 또한 현대 새로운 중국의 면모가 비교적 적게 포함 되어있다. 세종학당의 문화 활동의 내용은 판소리 감상과 사물놀이 체험등과 같은 전통 한국 문화 수업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유행하는 노래가사 불 러보기, 힙합댄스감상 등 현대 “한류”의 매력을 체험하는 수업도 있다. 많은 교사들은 공 자학원도 신선하고 더욱더 세련된 문화 활동을 개발하여 수강생들에게 학업에 대한 흥미를 더욱 높이자고 제안하고 있다. 주요 업무 영역으로 볼 때, 양측의 업무 영역은 대체적으로 비슷하다. 언어 교육,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여 파견, 적합한 교육자원의 제공, 언어자격증시험과 언어 교사 자격 인증, 온라인 방식으로 본국의 교육 문화 정보를 제공, 각국과 학술 문화 교류 활동 확대 등 이 모든 것을 포함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자학원의 수업은 일정한 수업료를 받지만 세종학당 은 기본적으로 무료교육을 실행한다. 한국세종학당과 중국공자학원은 서로 비슷한 점도 있지만 각자의 특색도 있다. 양측을 본 보기로 삼아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목표를 실현하고, 중한 양국민의 이해와 중한 양국의 우 의는 날로 발전하기를 바란다. 중국과 한국은 세계 각국에 공자학원과 세종학당을 건립한 후에 우리의 언어와 문화를 공 부하는 외국인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양국문화와 교육 국제화의 진행과정이 크게 가속화 될 뿐만 아니라, “소프트 파워”(soft power)의 구체적인 실현이다. 이런 사회의 미, 문화의미 그리고 현실의미는 앞으로 더욱 부각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공자학원과 세종학당의 발전현황, 건설적인 의미, 그리고 부족한 점은 노력하여 찾고 연구하는 것이 필 요하다. 우수함과 특색은 더욱 발휘하고, 부족한 점은 개선방법을 찾아야 하며, 공자학원과 세종학당은 끊임없이 세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점진적으로 계속 발전하기를 기원한다.

목차

국문요약
 1. 引言
 2. 孔子学院在汉语教学方面的状况
 3. 孔子学院在文化实践方面的状况
 4. 与世宗学堂运营状况的对比
 5. 结語
 参考文献

저자정보

  • 钱兢 전긍. 국민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