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reasons why Hallyu is widely spread in China basically lie in such factors as the proximity between Chinese and South Korean cultures, the role of Hallyu cultural export mode on national level, celebrity effect, and the internal impetus in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 cultural industry, among which the last is the most fundamental one to give Hallyu an extremely competitive power. The flexural-shape propagation of Hallyu in China interacts with the development of China-Korea relations, therefore,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Hallyu in China reflect the close relationship of politics, economy and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However, the “anti-Hallyu” phenomenon shows not only the conflicts in realm of ideology of the two countries, but also the economic interests and the “soft-power” competition --the competition in cultural industries--between them, which serves as the deeper reason and therefore becomes the main factor to hinder the development of propagation of Hallyu. The change of China-Korea relations reflected in Hallyu phenomenon suggests that the deepening of China-Korea strategic partnership will have a long way to go in getting through the barriers and obstacles.
한국어
중국에서 한류의 전파 양상은 대체적으로 3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97부터 2006년까지의 처음 10년은 한 류가 중국에 들어와 엄청난 인기를 얻었던, 양국 문화 교류의 허니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6년경부 터 중국에서의 한류는 급격히 하락하는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심지어 ‘반한류(反韓流)’와 ‘혐한류(嫌韓流 )’ 현상까지 출현하였다. 그러다가 최근에 들어 K-POP 등이 널리 퍼지면서 ‘신한류(新韓流)’가 다시 휩쓸게 되 었다. 이에 따라 한국제품을 선호하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소비자群이 형성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류나 한국 문화상품이 중국에서 인기몰이 한 원인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 는 원초적 동질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으로 한국인들은 K-Culture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아주 좋은 조합을 만들어냈다. 한국정부와 민간재단이 힘을 합쳐 한국 문화산업의 튼튼한 경제지원 체계를 구축하 면서 계획적으로 창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또한 콘텐츠의 OSMU모델이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여 적극적인 수출전략을 펼쳤다. K-POP이 한국 드라마에 이어서 한국 문화를 대중화·현대화·세계화 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고 판단된다. <대장금>에서 <강남 style>로 발전하며 한류 가 날로 성숙해지는 양상이다. 이는 한류 전파 시스템이 완비되었기 때문인데, 바로 이런 점이 한국문화 전파 에 큰 몫을 했다고 본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중국에서의 한류의 전파가 순조롭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즉 ‘반한류’나 ‘ 혐한류’가 출현한 원인을 간과할 수 없다. 그 원인은 첫째, 역사·문화 분야의 충돌과 오해로서, 이것이 ‘반한류’ 현상을 일으킨 중요한 요소인데 문화적 충돌이나 오해를 조장하는 데 언론매체가 부채질하는 경우가 많지 않 았나 한다. 둘째, (일부)한·중 인사들의 편협한 민족주의에 기인한 행동들이 중국에서 ‘반한(反韓)’, 한국에서 ‘ 반중(反中)’의 분위기를 형성했을 것이다. 셋째, ‘반한류’ 현상은 이데올로기의 충돌로 인해 형성한 것이라기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면 경제적 이익과 국가 문화적 영향력의 경쟁에서 기인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한·중 양국은 문화산업 분야에서 때로는 서로 경쟁하는 라이벌로 존립하기 때문에 갈등이 불가피하여 이런 양 상이 한류의 전파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목차
1. 서론
2. 한류의 전략과 경쟁력
3. 반한류 및 한류의 한계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