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a candidate’s vote share and a party’s vote share in two-vote mixed system in the 17th -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By relying on the structure and macroscopic factors which explain the difference, the article confirms the importance of voters-backed party’s candidates dropping out of the race and regionalism.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when voters-backed candidates run in the race in a single-member consistency, their vote share is greater than a party’s vote share. Therefore, whether or not a candidate runs in the race is critical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Second, voters’ strategic split-ticket voting usually displays a homogeneous paired-ballot casting pattern such as a major conservative party-a minor conservative party, and a major liberal party-a minor liberal party. Although this ballot casting pattern may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fact that voters desert minor parties on the grounds that they have no chance of winning, coercive split-ticket voting caused by no candidate who nominates or runs in the race can be a key element in explaining the difference. Also, voters who Yeungnam and Honam tend to support their own regional party, and voters who cast for an independent candidate in their district tend to cast for regional hegemonic party at party voting.
한국어
본 논문은 1인 2표제 선거제도 하에서 지역구 선거 득표율과 정당투표 득표율이 서로 다른 이유를 집합자료와 유권자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두 득표율의 간의 차이의 원인을 선거 당시 지지하는 정당후보의 불출마하는 구조적 요인의 차원에서 살펴보면서, 동시에 두 득표율 간 차이의 원인이 거시적으로는 지역주의 정치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검증하는 데 있다. 집합자료의 분석결과, 무소속의 존재와 지역구 선거에서의 후보 출마 여부가 두 득표율 간 차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유권자 서베이 자료의 분석결과, 분할투표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보수성향 대정당-보수성향 군소정당, 진보성향 대정당-진보성향 군소정당 형태였다. 이러한 투표행태는 결과적으로 군소정당 지지자들의 사표방지 심리에 의한 분할투표행태로 해석할 수 있지만, 선후관계의 측면에서 보면 사표방지를 위한 분할투표 이전에 지역구 선거에서 지지 정당후보의 불출마나 비공천으로 발생하는 강제적 분할투표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또한 영호남 유권자들은 지역정당에 대한 강한 선호를 나타냈고, 영호남의 지역구 선거에서 무소속을 지지한 유권자들은 정당투표에서 지역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I. 서론
II. 기존 연구의 검토와 이론적 논의
III. 연구방법
IV. 지역구 선거 득표율과 정당투표 득표율의 차이 분석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