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내가권법 三大門 太極拳, 形意拳, 八卦掌에 대한 탐색

원문정보

Explore for 3 Major Chinese Internal Family in Material Arts of Fist as Taegukkwon, Hyungeuikwon, and Palgwaejang

중국 내가권법 삼대문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에 대한 탐색

김용수, 박기동, 김택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searched for the characteristic, background and application techniques of the Chinese internal family in martial arts and suggested the knowledge structure of Chinese martial arts of fist.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made after the research on 3 major Chinese internal family in material arts. At first, Taegukkwon, which is based on Shaolinkwon, is the martial art created by Jin Wang Jung in Jin’s family from Chenjiago, Henan Prov. At second, Hyungeuikwon is the representative martial art of Hebei Prov. & Shanxi Prov., and is originally created by Hee Jae-Ga as an Simeuiyukhapkwon. This has been completed by Lee Nak-Neong after generations, and he has named it as ‘Hyungeuikwon’. At third, Palgwaejang is a branch of North martial art centered with Beijing, and created by Dong Hae Cheon. At fourth, the internal family in material arts has been adapted with health exercises such as Qigong, Doinsul, Yangsaengsul and Gunsinsul. At fifth, 3 major Chinese internal family in material arts has a certain pattern that the trainee will start to learn Taegukkwon and then practice the technique of Hyungeuikwon, and finally become skillful in Palgwaejang to be the master of the internal family in material arts.

한국어

이 연구는 중국 내가권법(內家拳法)의 특성 및 배경과 응용 기술 형태를 살펴봄으로써 중국 내가권법의 지식 체계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내가권법의 3대문(三大門)을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태극권(太極拳)은 소림권(少林拳)을 모태로, 하남성(河南省) 진 가구(陳家溝)에서 진씨 일족인 진왕정(陳王庭)에 의해 창시된 내가권이였다. 둘째, 형의권(形意拳)은 산서성(山西省), 하북성(河北省)의 대표적인 무술로, 희제가(姬際可)가 전한 심의육합권(心意六合拳)을 몇 대 걸쳐 이낙능(李洛能) 이 이어 받아 ‘형의권(形意拳)’이라 명명한 권법이었다. 셋째, 팔괘장(八掛掌) 은 북경(北京)을 중심으로 전해온 북파 권술의 일종으로, 동해천(董海川)에 의해 창시되었다. 넷째, 내가(內家) 계열의 무술은 기공(氣功), 도인술(導引 術), 양생술(養生術), 건신술(建身術) 등과 유사한 의미로 건강 및 의료체조와 관련된 수련 방법이 무술에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내가권법 (內家拳法) 삼대문(三大門)은 태극권에서 시작하여, 형의권(形意拳)의 기법을 습득하고, 형의권(形意拳)을 배운 사람은 팔괘장(八掛掌)을 숙달함으로써 내 가권의 전용(全容)을 알게 되는 일종의 유형이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내가권법(內家拳法)의 삼대문(三大門)
  1. 태극권(太極拳)
  2. 형의권(形意拳)
  3. 팔괘장(八卦掌)
 Ⅲ. 내가권법(內家拳法) 삼대문(三大門)의 응용(應用)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수 Kim, Yong-Soo. 강원대학교
  • 박기동 Park, Ki-Dong. 강원대학교
  • 김택호 Kim, Taek-Ho. 강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