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원형을 원용한 콘텐츠에 관한 고찰 - 각운의 『선문염송설화』와 현행 예불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the contents adapted from cultural archetype - Focusing on Seonmun Yeomsongjip Seolhwa by Gakwoon(覺雲) and Korean Yebulmun -

이점숙(영석)

한국정토학회 정토학연구 제20권 2013.12 pp.269-30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sidering the core subject matter of contents is cultural archetype, this essay attempts to apply it to Seonmun Yeomsongjip(禪門拈頌集,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It's because the contents having accepted ever since Seonmun Yeomsongjip Seolhwa(禪門拈頌集說話, 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compiled, which has its roots in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has substantialized the great cultural value over a few centuries. It is the main point in the first half of this essay to argue that the whole process is contents, in which Seonmun Yeomsongjip Seolhwa(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has been compiled and reedited labeling the number of Gochik(古則, 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and the title to and classifying it in another form. Furthermore, Seonmun Yeomsongjip Seolhwa(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which consists of adding Seolhwa(說話, the Hwadu commentary) to Seonmun Yeomsongjip(禪門拈頌集,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has the intaglio of disyllabic words as the title of Gochik(古則, 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such as Daegak Sejon Seokgamoni Buddha(大覺世尊釋迦牟尼佛, The Great Awakening The World-honered One Sakyamuni Buddha), Dosol(兜率, The Tushita Heaven), Juhaeng(周行, Dharma tour) etc on the wood-printing block edition of it, and it has been published as the compilation with the addition of Seolhwa(the Hwadu commentary). Since then, it was transformed into Seonmun Yeomsong Samgajip(禪門拈頌三家集,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three houses of Seon School) by Guam(龜庵) or Seonmun Yeomsong Seonyoso(禪門拈頌選要疏, Annotation of the Essence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by Choui(草衣). This is to develope new cultural contents by adapting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which might be an invariant main agent and cultural archetype, and also to create new culture by reinterpreting, classifying, reediting and transforming it on and on. First of all, Hyesim(慧諶) compiled and edited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with the intention of keeping the unchangeable principle of Gochik(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and Yeomsong(拈頌, the Evaluation and Odes). In other words, he subdivided into seven classifications lea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atriarches with describing their statements intactly through Gochik(the question for Buddhist meditation). This seven classifications is clearly illustrated in Seonmun Yeomsongjip Seolhwa(the Hwadu commentary of 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by Gakwoon(覺雲), from which the creation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Chiljeongrye(七頂禮, the Buddhist service with seven bows to Buddha) in Korean Yebulmun(禮佛文, Prayer for Buddhist service) should be said to be originated. The classification of Chiljeongrye(the Buddhist service with seven bows to Buddha) in Korean Yebulmun(Prayer for Buddhist service) was composed by Wolun(月雲), which is viewed as the creation with adapting cultural archetype. It can be said to be cultural strategy that two different cultural systems interact each other. New cultural phenonenon is developed through the creative working and good imagination out of cultural archetype and by overcoming it. The spirit of 'not making up but describing(述 而不作)' represented in Seonmun Yeomsongjip(Collection of the Evaluation and Odes of Seon School) should be regarded as the recomposition of Korean Yebulmun(Prayer for Buddhist service) made up of seven genres, which has the impression of a rhythmical and dramatic storytelling.

한국어

三敎了父는 숙종12년(1686) 각운의 『선문염송집설화』를 重刊하면서 「重刊拈頌說話序」에서 언급하기를, ‘빨리 키우려고 벼의 싹을 뽑아 올렸다가 말라죽게 하는 어리석음은 해로운 짓이긴 하 나, 해파리가 새우의 눈과 귀를 빌어 몸을 지탱함은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서술하고 있다. 새우의 눈과 같이 작은 안목으로, 천천히 벼의 싹이 자랄 수 있도록 후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편으로 『선문염송집󰡕에 관한 『설화』를 지은 연기를 전하고 있다. 본 논고는 『선문염송집』이라는 문화 원형은 한국 선문화 콘텐츠에 기반이 되고 있다는 것의 착안이다. 문화원형이란 그 문화를 기반으로 상상 혹은 창작되어진 문화콘텐츠의 핵심의 소재인데, 문화원형으로서의 『선문염송집』으로부터 援用된 『선문염송집설화』는 『선문염송집』에 『설화』를 회편하여 재조하고 또 중간하는 과정에서 칙수와 표제를 붙임에 따라, 원형을 원 용하여 재해석하고 분류하며, 재편되고 변형되면서 새로운 문화창달을 하게 된다. 이에 문화콘 텐츠를 형성하게 되는 과정을 『선문염송집』과 『선문염송집설화』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 전 반부 논점이다. 나아가 『선문염송집설화』의 판본에서는 고칙에 大覺世尊釋迦牟尼佛이외에 兜率, 周行 등 주 로 二字語로 칙명을 달아서 음각하고 說話를 添入하여 會編한 형태를 보이다가, 그 후대에는 龜庵의 『禪門拈頌三家集』혹은 草衣의 『禪門拈頌選要疏』등의 형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 은 변함없는 주체이자 문화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선문염송집』이 수세기를 통하여 막대한 문 화적 가치를 실현하는 중에서 서로 다른 문화현상이지만 하나의 문화원형으로부터 원용되어 폭 넓게 문화콘텐츠가 형성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문화원형으로서 혜심의 『선문염송집』은 고칙과 염송을 전개하는 데에 고칙과 염송이라는 틀 을 흔들림없이 전개하는 내면에 그의 편집의도를 전하고 있다. 즉, 고칙을 통하여 제시하는 거친 언어 가운데 그의 사상은 미세한 ‘칠분류’로서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칠분류가 확연히 드러나게 되는 『선문염송집설화』의 판본에 보이는 제2의 ‘술이부작’은 더 나아가 세계불교에 유례없는 대한불교 조계종 현행 예불문의 ‘칠정례’라는 문화현상을 창달하게 되었다고 추론해 본다. 현행 예불문에서 ‘칠정례’의 분류는 1950년대에 월운스님에 의해 성립하게 되는데 대표적 인 예불문의 문형을 선연구물에 의해 살펴보고, 현행 예불문이 문화원형으로서의 『선문염송집』으로부터 원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보는 것이 후반부의 논점이다. 조사의 언설을 그대로 전하면서 새로운 것을 이끌어내는 혜심의 편집의도는 서로 다른 문화가 소통하고 새로운 문화창달을 할 수 있는 전략이 아닐 수 없다. 새로운 문화현상은 문화원형에서 그것을 벗어나는 데에 충분한 상상과 창작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선문염송집』과 『선문염 송집설화』가 보여주는 편집의도는 결국 리드미컬하고 드라마틱하게 스토리텔링의 감동을 주는 ‘7장르’의 현행 예불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유추해 본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문화 원형 혜심의 『선문염송집』과 그 원용 각운의『선문염송집설화』
 Ⅲ. 『회편선문염송집설화』와 현행 예불문의 원용관계
  1. 大雄殿예불문의 정례문 비교
  2. 정례문에 대한 변형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점숙(영석) Lee, Jeom-sook(yeong-seok).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