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7~18세기 雇工과 雇主의 실태 - 경상도 丹城縣호적대장에 나타난 모습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ality of Gogong and Goju in the 17~18th Centuries - Based on the Census Register of Dan Seong Hyun in Gyeongsang-do -

17~18세기 고공과 고주의 실태 - 경상도 단성현호적대장에 나타난 모습을 중심으로 -

강승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trend of changes and also the reality of Gogong and Goju by analyzing 5 year periods on the census register of Dan Seong Hyun that was written from the end of 17th century to the end of 18th century and compared the result to the one of analysis for census register of Uhn Yang Hyun.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the general literature data. As a result, conclusions on the trend of changes and also the reality of Gogong and Goju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were mad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Gogo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later of the 18th century was that Gog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failed to satisfy the requirements designated in the Gogong regulations and also that previously attendants for about 1 to 2 years named Mooan Gogong became the mainstream. Secondly, Gogongs listed on the census register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not male juveniles or adults but teenagers and also women that suffered from the difficulty of employment. Therefore, most of them were Angyeok Gogong and Sooyang Gogong. Third, Gogong and Goju were not in proportion with population distribution but closely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private markets or were distributed more at the cities. Fourth, Gogongs were hired on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family workforce including the slave. In summary, as for the Gogong in the later Joseon Dynasty, Mooan Gogong, that was not able to be listed on the census register, became the mainstream, while Sooyang Gogong listed on the census register or Ipan Gogong with the long period of employment were slowly disappeared. In addition, it is undertood that Gogong listed on the census register specifically served for family workforce or economic activities on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the slavery labor or family manpower by Goju.

한국어

본고에서는 17세기 후반~18세기 후반에 걸쳐 작성된 단성현 호 적대장 5개 식년을 분석하여 고공과 고주의 실태와 그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대구부와 언양현 호적대장 분석 결과와 비교 하였다. 또한 일반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 과 조선후기 고공과 고주의 실태와 그 변화 추이에 대해 다음과 같 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8세기 후반 이후 호적에서 고공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조선후기의 고공이 고공정제에 규정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이른바 1∼2년 使喚되었던 무안고공이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둘째, 조선후기 호적에 늦게까지 기재된 고공은 청ㆍ장년층 남성 보다 고용처를 얻기 어려웠던 청소년층과 여성으로, 이들은 대부 분 앙역고공이나 수양고공이었다. 셋째, 고공과 고주호는 인구분 포에 비례하지 않고, 장시의 위치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거나 도 회지역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넷째, 고공은 노비를 비롯한 가내 노 동력의 보완을 목적으로 고용되었다. 이상의 사실을 종합하면, 조선후기의 고공은 시간이 지날수록 호적에 기재될 수 없었던 무안고공이 점차 증가하고, 호적에 기재 된 수양고공이나 고용기간이 긴 입안고공은 점차 사라져 갔다고 하겠다. 그리고 호적에 기재된 고공은 고주가 가내 노동력이나 노 비노동력을 보완할 목적으로 보유하여 가내잡역이나 경제활동에 투입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공과 고주호의 변화 추이
 Ⅲ. 고공과 고주의 실태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강승호 Kang, Seung-Ho. 과천여자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