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남북한 중학교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항쟁사 서술체제와 내용분석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n Descriptive System and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 Focused on the Annals of Resistance Movement against Foreign Aggression During the Goryeo Period -

김형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perception appeared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n which share the same history. The annals of resistance movement against foreign aggression during the Goryeo period were compared by using the two history textbooks: 『National History』textbook of South Korea and 『History of Joseon』of the fourth year textbook of North Korea. Th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systems between the two textbooks were compared. Second, the contents of the two text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both textbooks had an emphasis on independ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re were many differences. First of all, it showed differences in descriptive system. In 『National History』, descriptions for all facets of society during the Goryeo period were relatively balanced from a quantitative aspect. On the other hand, 『History of Joseon』 focused on the resistance movement of Goryeo against foreign aggression. Also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ir perception on the influencers who led such resistance movement was different. In 『National History』, descriptions were focused on the state- or ruling class-oriented history, although the role of grass-roots had been recognized. On the contrary, 『History of Joseon』 regarded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general populace as the most important event. Thus, the stories about such events occupied a lot of spaces. It described the general populace as the subject to resist and defeat the enemy in case of foreign aggression and it defined the ruling class as the anti-historical existence who runs away and betrays caring only for own profits.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renew our perception on the community formed on the basis of common history and culture, and to think about it deeper.

한국어

본고는 남북한 역사교과서인 『국사』와 『조선력사』4 부분 중 고 려시대 대외항쟁사를 비교ㆍ분석하여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공유 하고 있음에도 남북한의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역사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역사 서술에서의 동질ㆍ이질적인 요소 를 찾아내어 통일시대를 준비해 나가는데 있어 남북한 청소년들의 올바른 역사인식 함양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남북한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항쟁 서술체제를 비교해 보았다. 『국사』와 『조선력사』4에 나타난 단원의 구성을 비교하고, 교과서 내용 중 고려시대 대외항쟁사 서술 분량의 차이와 서술 방 법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둘째, 남북한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항쟁 서술 내용을 분석 하 였다. 거란ㆍ여진ㆍ몽골과의 항쟁과 홍건적ㆍ왜구의 격퇴에 관해 서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 형태와 인식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남북한 교과서의 대외항쟁에 대한 서술은 기 본적으로 자주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동질성을 찾을 수가 있었다.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이질 성이 발견되었는데 우선 서술 구성 상 차이점을 보였다. 『국사』는 양적인 면에서 고려시대 모든 분야 가 비교적 균형 있게 서술되고 있지만, 북한 교과서에 비해 지배계 층의 변화와 정치제도의 정비 등 정치사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 에 반해 『조선력사』4에 나타난 고려시대 서술체계의 가장 큰 특징 은 대외항쟁사, 특히 고려와 거란의 전쟁, 고려와 몽골의 전쟁에 대 한 부분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서술 내용의 분석에서 대외항쟁을 이끈 주도층의 대한 인 식도 달랐다. 『국사는 기층민의 역할을 의식하되 국가 또는 지배 층 중심의 역사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조선력사』4 는 인민대중의 대외항쟁을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하고, 서술 면에서도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었다. 외적이 침입하였을 경우 이것에 저항하고 물리치는 것은 항상 인민대중이며 지배층은 달아 나고 배신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돌보는 반역사적 존재로 규정하고 있었다. 지배층의 무능함과 대비하여 지나치게 인민의 투쟁을 강 조한 것은 오직 인민에 의해서만이 역사가 발전한다는 계급 투쟁 론적인 관점을 심어 주기 위함이었다. 여기에서 남북한 국사교과 서의 서술의 특징이 확연히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체제와 내용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인 역사적 사실에 씌워진 이념이나 정치성을 가능한 한 조화시키거나 배제하도록 노력하면서 역사공동체ㆍ문화공동 체로서의 인식을 더욱 새롭고 깊게 하여 가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이것이 우리들에게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로 향하는 남북한 청소년 들의 올바른 역사의식 형성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 생각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시대 대외항쟁 서술체재의 비교
  1. 단원구성
  2. 서술 분량 및 방법
 Ⅲ. 고려시대 대외항쟁 서술 내용의 분석
  1. 거란과의 항쟁
  2. 여진과의 항쟁
  3. 몽골과의 항쟁
  4. 홍건적과 왜구의 격퇴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형준 Kim, Hyung-June. 송광사 성보박물관 학예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