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소민간경비업체의 서비스 이용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인식

원문정보

Awar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Service Users among Small and Mid-Sized Security Companies

김일곤, 최기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overnment was fully aware of the gravity of a recent massive leak of personal information of credit card users. Meanwhile, the government just took a light disciplinary action by imposing a fine, but it showed its intention to strengthen the regulations by taking the severest disciplinary action. The tightened regulations against personal information leak will be applied to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without exception to protect individual people's property and lives if such an incident occurs in that industry that deals with a wide variety of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CCTV data or privacy information all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for service users among private security firms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reform measu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ministrators or managers who are involved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hould make a full-fledged effort to gather information. Second, counseling or relate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small and mid-sized security firms to guarantee thoroug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ird, Korea Security Association should improve the educational system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o resolve problems with this education currently provided for managers and employees of these companies.

한국어

대량 개인신용정보 유출 사고의 심각성을 인지한 정부는 “징벌 최고 수준”의 조치를 취하며 규제강화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규제강화 조치는 개인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CCTV 영상, 사생활 정 보, 개인정보 등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상시 접하고 있는 민간경비산업에도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한다면 예외 없이 적용될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체들의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보호 관리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비교 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운영자 또는 관리 자의 적극적 정보 수집 활동이다. 둘째, 개인정보보호를 중소민간경비업체들이 할 수 있도록 상담 또는 프로그램 등의 도구의 제공이다. 셋째, 종사자 및 업체 운영자에 대한 개인정보보호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경비협회의 적극적인 개인정 보보호 관련 교육제도의 개선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개인정보보호의 의의와 현황
  2.1 개인정보의 정의
  2.2 개인정보의 적용원칙
  2.3 개인정보보호의 피해 현황
  2.4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3.1 자료수집 및 연구참여자
 4. 결과 분석
  4.1 대기업 민간경비업체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인식
  4.2 중·소 민간경비업체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인식
  4.3 대기업과 중·소 민간경비업체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인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일곤 Kim Il Gon. 동아대학교/ 경찰경호학과
  • 최기남 Choi Kee Nam. 세명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