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일본의 도시문화 수용을 통해 본 여성 복식의 변천

원문정보

The Shift in the Fashion of Japanese Modern Wome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Urban Culture in Japan

이경규, 이행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arly phase of the way in which the overall fashion in Japanese dress became “westernized” through the Western-style urban culture actively introduced in Japan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 the early Meiji-period governments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modern city and their subsequent inclination of following (or mimicking) the ostensible formality of the Western culture as part of their grand objective to “civilize” or “westernize” the then Japanese society. For instance, high-ranking Japanese officials and their partners socializing with one another at such Western-style (members-only) social clubs as the Rokumeikan (鹿鳴館), wearing Western-style suits or dresses, could be seen as merely mimicking the then Westerners’ attire. The emergence of the Westernization in Japan during the Daisho period after the First World War has a tendency of being influenced by the American culture-based urbanization. And this “latest” urban phenomenon enabled the creation of such new forms of spaces for cultural consumption and residence as dance halls, cafes and cultural housings in Japan. In parallel with this, the fashion in Japanese dress also became gradually transformed to adapt itself to these new forms of cultural consumption and residence. Accordingly, new fashion trends reflecting the then American fashion style started emerging that ranged from knee-length skirt to the flapper style like short-cut hairstyle with cloche hat.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he emergence of the flapper style, the symbol of modern girls who were growing as main (cultural) consumers of that period, resulted from Japan’s long-term efforts to accommodate and then introduce the Western culture in its society. Although the women’s fashion in Japan in the early Meiji period tended to merely mimic the Western fashion style, such a trend-seeking tendency started being gradually transformed and then “settled” with times, according to the concomitant shift in its need responsive to the then sociocultural circumstanc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메이지기 이후 근대도시의 문화 수용으로 나타난 서양화된 여성 복식이 일본복식으로 정착화 되어가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초기 도시문화 수용에 따른 복식의 서양화의 양상은 근대도시에 관심을 가진 초기 메이지 정부의 문명화의 목적에 따른 외국에 대한 겉치레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로쿠메이칸이라는 서양식 사교장에서 서양예복을 입고 교류했던 당시의 모습은 서양인들의 흉내내기에 그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다이쇼기의 서양화는 미국문화를 기초로 한 도시화의 양상이 나타나는데, 그것은 댄스홀과 카페와 같은 새로운 소비문화공간, 문화주택과 같은 신주거 형태를 만들어냈으며 이에 따라서 복식도 새로운 소비, 주거 공간에 적합한 형태로 나타났던 것이다. 구미의 유행을 반영하는 무릎길이의 치마, 짧은 단발과 클로쉐 햇과 같은 플래퍼 스타일의 유행이 출현하였으며, 당시 소비주체로 떠올랐던 모던걸을 상징하는 플래퍼 스타일은 이러한 서구문화 수용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이지 초기의 일본 여성 복식은 무조건적인 서양 복식의 유행을 따른 면이 없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유행도 점차 시대 상황이나 용도에 맞게 변모하고 정착되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1. 들어가며
 2. 일본의 근대 도시문화 수용에 따른 서구화
 3. 여성 복식의 변천
  3.1 메이지시대
  3.2 다이쇼시대
  3.3 전시 여성복식
 4. 나오며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이경규 동의대학교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교수
  • 이행화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