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テイク」「テクル」와 「어 가다」「어 오다」의 문법화의 차이점

원문정보

The Difference of Grammaticalization between ‘teiku, tekuru’ and ‘a gata, a ota’

이정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an be expressed by an abstract form of the verb “テクル(te kuru)” which is usually used to describe the moves of concrete subjects, which illustrates the continuity of grammaticalization. Such are only possible for the verb “テクル(tekuru)” and do not exist for the verb “テイク(te iku)”. are usually treated as part of aspect, but they can also be considered concessive modal verbs. In addition, I examin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rammaticalization. This comparison reveals that the Korean language’s “-어 가다a gata” is more grammaticalized than its Japanese analogues “テイク(te iku)”. And that Japanese language’s “テイク(te iku)” is more grmmaticalized than its korean analogues “-어 오다 a ota”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어의 「어 가다・어 오다」와 일본어의 「テイク・テクル」의 문법화의 상이에 대하여 고 찰한 것이다. 한국어의 「어 가다・어 오다」와 일본어의 「テイク・テクル」는 <공간이동>과 <시간이동>의 <동 작의 계속><변화의 계속>을 나타내는 경우는 성립가능하나 일본어의 경우에 성립가능한 「テク ル」의 <개시>용법은 한국어에서는 성립하지 않으며 또한 <심리이동>의 경우도 일본어의 「テ クル」는 성립하나 한국어에서는 성립하지 않았다. 그러나, <심리이동>의 문법화의 전단계라 할 수 있는 <대상의 이동>의 경우는 동사의 제약은 존재하나 한국어도 「어 오다」가 성립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사실은 문법화의 방향성을 설명가 능하게 함과 동시에 한국어의 「어 오다」도 일본어의「テクル」와 마찬가지로 <심리이동>을 나타 낼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본어의 「テクル」의 문법화 과정을 답습하리라는 예상까지 가능하게 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한국어에서는 「다 먹어 간다」와 같이 「어 가다」구문으로 <종료근사점>을 나타낼 수 있으 나 일본어의 「テイク」에는 이러한 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종료근사점>을 나타내는 문법형식 이 존재하는 것도 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라 할 수 있겠다. 일본어는 「テクル」가, 한국어는 「어 가다」가 각각 대응형식인「テイク」,「어 오다」보다 문법화가 진 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1. 연구 목적
 2. 일본어의 「テイク・テクル」구문의 개관
 3. 문법화의 차이
  3.1 「イク・クル」와 「가다・오다」
  3.2 한국어의 「어 가다」로 본 일본어의 「テイク」
  3.3 일본어 「テクル」로 본 한국어의 「어 오다」
 4. 마치며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이정옥 동덕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