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古庵 祥彦의 선사상과 의의 고찰

원문정보

An Investigation on Master Goam Sang-eon’s Seon thought and its Meaning

고암 상언의 선사상과 의의 고찰

김응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reat Master Goam Sang-eon (1899~1988) was taught by several masters of his time including his eunsa (his greatly respected teacher) Jesan (1862~1930), and beopsa (Dharma teacher) Yongseong (1846~1940), and inherited the tradition of Korean Seon (Zen) by attaining inga (sanction) from Master Yongseong, In the forefront of teaching sentient beings in his capacity as jongjeong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Goam stabilized the order and enhanced the status of Korean Buddhism. Goam emphasized in his teaching the essence of Zen thought, namely the self-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本證自覺 as the One Mind. He unfolded his thought of original enlightenment, stating that, if one rightly understand the One Thing 一物 and correctly uses the One Mind, one can directly achieve sainthood as the radiance of the Buddha’s compassion permeates everywhere. Furthermore, Goam emphasized teaching students Ganhwa Seon and chanting as a means of attaining enlightenment; however, he made it clear that all the practice methods, whether hwadu investigation or chanting, aim at helping to see one’s intrinsic nature. Retaining this view in mind, Goam, as a Zen master, put an emphasis on practicing with rigorous spirit for attaining enlightenment. This can be observed in full from his image embodied as a Bodhisattva of compassion. Considering that Buddhism including Zen pursues seeking bodhi above and saving sentient beings below, the fruit of Buddhist practice should take the form of compassionate activities. Goam’s compassionate life and practice of ‘merely going on the blade of a sword’ 但行劍上路 provide a lesson for today’s practitioners, who wander and struggle around only looking for personal advantages, to ruminate upon.

한국어

古庵 祥彦(1899~1988)은 霽山 淨源(1862~1930)을 은사로, 龍城 震鐘(1846~1940)을 법사로 하고, 당대 의 여러 선지식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으며한국불교의 禪脈을 이었다. 용성에게 깨달음의 인가를 받았 고 이후로는 제방의조실로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으로 중생제도에 앞장서, 한국불교의 위상을세우고 종단의 안정을 이끌었다. 고암은 선의 핵심사상인 一心의 本證自覺을 강조한다. 부처님의 자비광명이비추기에 한 물건(一物) 바 로 알고 한마음(一心) 잘 쓰면 곧바로 성인이 된다고하며 그의 본증사상을 전개한다. 또한 간화선, 염 불 등으로 수행자들을 지도하되,화두참구이건 염불이건 여타의 수행법들은 오직 自性을 見하기 위한 방법임을분명히 하고 있다. 고암은 이러한 선의 관점에서 그 체득을 위한 선사로서의 투철한 수행정신과실천을 강조했으며, 이는 자비보살로 화현되는 그의 모습에서 고스란히 엿볼 수있다. 불교, 선은 상구보리 하화중생을 목적으로 한다. 수행의 결과 드러나야 할것은 하화중생의 모습이며, 또한 수행의 과정에서 성찰되어져야 할 것 도 자비의면면들이다. 고암이 보여준 ‘但行劍上路’의 삶과 수행, 자비보살의 면면들은오늘날 개인의 수 행에 목말라 이리저리 헤매며 허덕이는 수행자들이 되새겨보아야 할 수행의 본분이자 정신일 것이다.

목차

국문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고암의 禪觀
  1. 一心의 本證自覺
  2. 不二中道의 緣起實相觀
 Ⅲ. 고암의 修行觀과 의의
  1. 見性悟道의 수행법
  2. ‘但行劍上路’ 수행정신과 실천
 Ⅴ.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응화 Kim, Eung-hwa. 현도,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