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천태종의 관음 칭명 수행 원리- 요세 비명의 ‘當處現前’과 그 배경 탐구 -

원문정보

The Principle of Avalokitesvara bodhi sattva Name Calling discipline by the Cheontae order-‘Dangchu Hyunjun當處現前’ in the Yose memorial stone and An investigation of its Background -

천태종의 관음 칭명 수행 원리- 요세 비명의 ‘당처현전’과 그 배경 탐구 -

최동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eaning of ‘DangchuHyunjun’ inscribed in the Joonjin-pagoda the memorial stone of Wonmyo Yose appears to be very significant. In this phrase, it is reflected the cheontae thought as well as the historical flow of its practice.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added. The priest Yose of Kyoryo well received the core of the Cheontae Thought from cheontaejieui of Sui dynasty to Ssu-ming Chih-li of Song dynasty. He was a famous artisan of the Choentae order in the religious sect followed by his success in the examination in joining as gov’t official. But he renounced the world and secluded himself from society. He was presented at the Junghye Association by the priest Jinul. He not only have studied the Seonjung Thought禪淨思想 of Yǒng míng yán shòu永明延壽 but also read『Gwankyeongso 』of Jieui and 『Myojongcho』of Jire. In the『Myojongcho. Yose invented the principle of Jak.si作․是, and established the Association in White Lotus Temple based on the easy discipline way(易行道) being chanting & meditating Buddhist player. Yose finally completed by ‘DangchuHyunjun當處現前’ after learning all the details of the ‘Buddha enter the living beings mind入衆生心’ by Guān mó liáng shòu sutra and ‘Comprehend-enter and correspond解入相應’ by Jieui, and ‘A feelings and response in crossing感應道交’ by Jirye. This was the basic of Cheontae order in the mid-post of Koryo dynasty, and such trend was succeed until in the early part of Josun dynasty. That Cheontae order was succeed by the Priest Sangwol through the Avalokitesvara bodhi sattva Name calling dicipline. Currently all temples nation-wide under the Korean Cheontae order implement such discipline. Considering the above,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ground for the verification the three contemplation in one mind一心三觀 being the charter of Avalokitesvara bodhi sattva Name calling discipline that has equipped with historical, religious legitimacy.

한국어

원묘 요세의 비석인 중진탑에 새겨졌던 ‘當處現前’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이 단어에는 천태사상과 그 실천의 역사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또한 연구의 중요성이 더해진다. 隋 천태 지의로부터 宋 사명 지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천태사상의 핵심을 高麗 요세는 훌륭하게 수용 하였다. 요세는 僧選에 이어 종문에서 이름을 날렸던 宗匠이었다. 그러나 속세를 버리고 은둔의 길로 돌아섰다 . 지눌의 정혜결사를 도운 경험이 있다. 또한 延壽의 禪淨思想을 연구함은 물론, 지의 『관경소』와 지례 『묘종초』를 열람하였다. 『묘종초』에서 요세는 作是의 원리를 발견하였고 칭명과 관상 염불인 이행도를 기반으로 백련결사를 결성하였다. 『관경』의 ‘入衆生心’과 지의의 ‘解入相應’, 지례의 ‘感應道交’로 이어진 내용을 섭렵했던 요세는 이들 의 의미를 ‘當處現前’으로 완결 짓는다. 이것이 고려 중후기 천태종의 기반이며 조선 초에 이르기까지 그 기조가 이어졌다. 그 행법을 상월 조사가 관음 칭명 수행으로 계승하였다. 현재 대한불교 천태종 전국의 사찰에서 이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그 관음 칭명이 宗旨인 一心三觀의 역사적, 교의적 정 통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확신시키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문
 Ⅰ. 머리말
 Ⅱ. 지의의 解入相應論 분석
  1. 지의 『관경소』에 대한 지례 및 요세의 관심
  2. 지의의 해입상응론에 대한 지례의 구분과 해석
  3. 지례 해석의 의의
 Ⅲ. 心作·心是 원리에 대한 지의·지례의 해석
  1. ‘作’ 및 ‘是’의 구분
  2. 지의의 是心作佛에 대한 지례의 해석
  3. ‘是心是佛’에 대한 해석
  4. 心作·心是 해석의 의의
  5. 六卽에 의한 作是 수행의 판위
 Ⅳ. 요세의 ‘當處現前’ 및 作是 원리의 완결성
  1. 作是 원리에 대한 요세의 이해
  2. 요세의 當處現前 성립
  3. 요세의 칭명 및 持呪 수행 및 독송의 그 의미
 Ⅵ.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동순 Choi, Dong soon. 동국대 경주캠퍼스.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