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龍城 禪師의 禪思想 - 삼문수학(三門修學)의 계승 · 발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龙城禅师的禅思想 -以对'三门修学'的继承和发展为中心-

용성 선사의 선사상 - 삼문수학(삼문수학)의 계승 · 발전을 중심으로 -

胡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한국 불교의 전통 수행체계는 17세기 이래 정착된 선(禪)·교학(敎學)·염불(念佛)의 이른바 ‘삼문수학( 三門修學)’으로 대표된다. 본고는 이러한 ‘삼문수학’의 전통에 비추어, 불교 근대화의 선구자인 용성 선 사의 수행관과 선사상(禪思想)을 해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용성 선사의 포용적 수행 관과 선사상이 한국 불교의 전통수행체계인 ‘삼문수학’을 계승·발전시킨 측면이다. 주지하듯이 용성 선사는 한국불교 근대화의 선구자로서, 그의 사상은 한국 근현대불교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따 라서 용성 선사의 수행관과 사상체계를 해명하는 작업은 한국 근현대 불교의 수행체계와 발전방향을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작업하기 위해 우선 조선 후기 ‘삼문수학’의 구조와 수행실천을 정리하였다. 청허 휴정은 경절문, 원 돈문, 염불문의 삼문을 언급하고, 그의 제자인 편양 언기가 본격적인 수행체계로서 삼문을 제시했는데 , 이때의 삼문수학은 경절문이 그 중심에 있고 원돈문과 염불문은 보조적인 위치에 있었다. 또 원돈문 은 경절문의 초보단계로서 경절문과 수직관계인 반면, 염불문은 상·중·하 근기에 모두 적용하는 수행 방법으로써 경절문과 대등적인 관계였다. 이어서 용성 선사의 수행과정과 그의 저서 가운데 염불·관법·참선 삼자의 관계 및 상호 작용을 언급한 부분을 분석했다. 용성 선사는 삼문을 ‘선교’의 두 분류로 정리해, 경절문은 선(禪)에 배치하고 원돈문 과 염불문은 통합해 교(敎)에 배치했다. 그리고 염불문과 원돈문은 수직적인 관계로 설정했다. 따라서 근대불교의 삼문 구조는, 삼문 가운데 염불문이 독자적인 영역을 차지하기보다는 점차 교의 일부분으 로 인식되고 있다. 바로 이 점이 조선 후기의 삼문구조와 근대불교 삼문구조의 내용상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즉 선은 경절문, 교는 원돈문과 염불문으로, 다시 말하자면 승려 수행의 일반적인 양식은 삼 문골격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염불문은 ‘선교(禪敎)’의 틀 중에 교의 한 영역으로 축소되고 있었던 것 이다. 용성 선사는 철저한 깨달음을 얻으려면 반드시 ‘의정’을 통해 화두를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 고 앞 절에서 살펴보았듯이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가 제시한 사례들은 대부분 수행방법 다양성 의 차원이 아닌, 깨달음의 철저성에 입각한 ‘간화선 절대주의’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용성 선 사가 참선 외의 여타 수행방법을 배척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삼문의 접점을 중시하고 후인을 위해 삼 문의 접점을 찾아내 보여주는 노력을 곳곳에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삼문의 접점을 밝히는 과정은 결국 선을 통해 깨달음의 경지로 수렴되면서 후대의 간화선 일변 도라는 역설적인 현상을 초래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용성 선사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한편으 로 참선의 준비단계에서 다양한 수행방법으로 대중들을 이끌며, 궁극적으로 참선의 길로 인도하는 ‘참 선 대중화’를 촉진하는 데 힘쓰고 있었다. 따라서 용성 선사의 균형잡힌 선사상은 오늘날 불교계에 시 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중국어

韩国佛教的传统修行体系是以17世纪以来形成的以禅·教学·念佛为内容的'三门修学'为代表的。本稿将 在'三门修学'的传统的基础上,来阐明佛教近代化的先驱-龙城禅师的修行观和禅思想。本稿将着重分析 龙城禅师的包容的修行观和禅思想对韩国佛教的传统修行体系-'三门修学'的继承和发展。众所周知,龙 城禅师作为韩国佛教近代化的先驱,他的思想对韩国近现代佛教产生了不小的影响。因此,笔者认为通 过对龙城禅师的修行观和修行体系的阐明,从某种角度来说可以为研究韩国近现代佛教的修行体系和发 展方向提供契机。为了进行这一研究,首先对朝鲜后期的'三门修学'的构造和修行实践进行了整理。清 虚休静提出了径捷门、圆顿门、念佛门的三门,他的弟子鞭羊彦机正式将三门作为修行体系,这时的三 门修学是以径捷门为主,圆顿门和念佛门为辅的结构。圆顿门作为径捷门的初步阶段与径捷门成纵向关 系,与此相反念佛门作为无论上中下根机都适用的修行方法与径捷门成对等的关系。接着分析了龙城禅 师的修行观及其著作中有关念佛、观法、参禅三者关系及相互作用的部分。龙城禅师将三门以'禅教'这 两个分流进行了整理,将径捷门归类于禅,圆顿门和念佛门归类于教学。并且将念佛门和圆顿门设定为 纵向关系。因此,可以看出,近代佛教的三门构造中念佛门与其说作为独立的领域存在,不如说渐渐地 被看做是教的一部分。这一点正是朝鲜后期的三门构造和近代佛教三门构造在内容上的不同点。即,禅 是径捷门,教是圆顿门和念佛门,换句话来说,虽然在僧侣修行的一般形式上来说延续了三门的基本构 架,但念佛门逐渐被归属于'禅教'这一框架中教的领域,进而被缩小化了。龙城禅师又从效率性和彻底 性两方面分析了三门的构成要素的优劣。他评价说念佛不如观法,观法不如参禅从而强调了看话禅的优 越性。按照他的观点来理解的话,念佛和观法只是参禅的准备阶段来理解也不为过。龙城禅师虽然以包 容的立场在参禅的准备阶段容纳各种各样的修行方法,但是他同时主张要想获得彻底的觉悟的话就一定 要进入禅定并打破话头才行。从这可以看出他的看话禅'优越主义'的倾向,这一点也是不容忽视的。但 龙城禅师并不排斥除了参禅以外的其他修行方法,反而更重视三门的交点。在他的著作中到处可见他为 向后人说明三门交点的努力。但在阐明三门交点的过程中,龙城禅师主张随着修行的深入最后只有通过 参禅才能到达觉悟的境地,结果这一理论的收敛起到了造成后代的'看话禅一边倒'现象的反作用。而龙 城禅师虽然具有看话禅优越主义倾向,但他在参禅的准备阶段,利用多种多样的修行方法来引导大众, 使其最终走向参禅之路,从而促进了'参禅大众化'。因此,笔者认为龙城禅师的均衡的禅思想对今天的 韩国佛教界具有很大的启示。

목차

국문요약문
 Ⅰ. 머리말
 Ⅱ. 조선 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Ⅲ. 용성 선사의 포용적인 수행관
  1. 주력(呪力)·염불(念佛)
  2. 관법(觀法)
  3. 간화참선(看話參禪)
 Ⅳ. 맺음말
 [中文提要]
 [참고문헌]

저자정보

  • 胡静 호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