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입보살행섭삼십육의(入菩薩行攝三十六義)』의 보리심 연구 -『입보리행론』의 인도와 티벳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Bodhicitta in Bodhisattvacaryāvātaraṣaṭtriṁśatpiņḍārtha : focus on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of the Bodhisattva-caryāvatāra

양승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Śāntideva has lived during the early eight century. His life is very little known, but his chief work the Bodhicaryāvātara, “Enter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was one of the greatest religious works in human heritage. He was a member of the Mādhyamika which was originated from Nāgārjuna. He also wrote the Śikṣāsamuccaya, “A Compendium of Discipline”. He was trying to explain the thought of enlightment(bodhicitta) and bodhisattva deeds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Bodhicaryāvātara. There are several commentaries about this Bodhicaryāvātara in India. Śāntideva’s earliest commentator was Prajňākaramati, who wrote the Bodhicaryāvātarapaňjikā. This survives in Sanakrit and Tibetan. Bodhisattvacaryāvātarasaṃskāra was composed by Kalyāņadeva in eleventh century. Vairocanarakṣita’s Bodhicaryāvātarapaňjikā and Vibhūticandra’s Bodhicaryāvātarapaňjikā Viśeṣadyotanī are available in Tibetan Tripitaka, we can also find very short and condensed forms of this commentary, Bodhisattvacaryāvātaraṣaṭtriṁśatpiņḍārtha(hereafter Triṁśatpiņḍārtha), “The Thirtysix condensed meaning of the Enter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and Bodhisattvacaryāvātarapiņḍārtha, “The condensed meaning of the Entering the Path of Enlightenment”. These two are compiled by Kamalarakṣita and Dīpaṁkaraśrījňāna. Triṁśatpiņḍārtha is the subject ot this study. Śāntideva’s primary subjects are bodhicitta and bodhisattva’s deeds. The sanskrit word bodhicitta is the mind of enlightenment. The mind of enlightenment is the only entrance into the Mahāyāna. To become a Mahāyāna practitioner, one must pratice the mind of enlightenment. The training in the sprit of enlightenment has two parts: the training based on the seven cause-and-effect personal instructions and the training based on the teaching of exchanging self and other. The latter was systematized by Śāntideva in his Bodhicaryāvātara. Bodhicitta consists of bodhi, which is enlightenment, and citta, which is mind. The mind of enlightenment is the desire for perfect enlightenment in order to able to work for the benefit of others. The mind of enlightenment is of two types, convention and ultimate, and the conventional is again divided into the aspirational and the practical. The aspirational mind of enlightenment is the wish to attain buddhahood in order to help all sentien beings. The practical mind of enlightenment is practicing the six perfections, having taken the bodhisattva vow. The ultimate mind of enlightenment is a wisdom cognizing emptiness directly.

한국어

『입보리행론(入菩提行論, Bodhisattva-caryāvatāra)』은 샨티데바(Śantideva, 687-763)가 남긴 인도 대승불교의 걸작품이다. 대승보살행의 입문서로서 이 논서는 인도 뿐만 아니라 티벳에서도 널리 읽혔 다. 후기 대승불교의 논서로서 드물게 한역된 논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인도와 티벳 등지에서 는 『입보리행론』에 대한 다수의 주석서가 찬술되었다. 인도에서 찬술된 주석서는 대부분 『입보리 행론』의 어의와 의미를 재해석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입보살행섭삼십육의(入菩薩行攝三十六義, Bodhisattva-caryāvatāra-ṣaṭtrimśat-piṇḍārtha)』는 약간 다른 목적으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삼십육의』는 『입보리행론』의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의 주석서가 아니다. 『입보리행론』에서 설 명하고 있는 내용을 까말라락씨따(Kamalarakṣita)와 디빰까라스리즈냐나(Dīpaṁkaraśrījňāna)가 간추 려 요약한 것이다. 『삼십육의』는 『입보리행론』에서 중요한 게송을 모아 『입보리행론』 전체를 항상 떠올려 생각할 수 있도록 편찬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삼십육의』는 『입보리 행론』의 장의 순서와 마찬가지로 『삼십육의』에서도 앞부분인1-18송에서 1장의 게송을 정리하고 있다. 『입보리행론』에서는 보살행에 들어가는 것을 설명하기 때문에 보리심이 중심이 된다. 보리심은 대 승불교에 들어가는 문이다. 이 문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보리심의 토대가 필요하다. 이 토대를 『삼 십육의』에서는 여가(餘暇)와 원만(圓滿)으로 설명한다. 이 토대에서 보리심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먼 저 보리심을 이익을 명상해야 한다. 보리심의 공덕을 떠올릴 수 있으면 보리심을 일으킬 수 있다. 『삼 십육의』에서는 보리심을 원심과 행심의 보리심으로 구분한다. 원심은 ‘일체중생을 위해 부처님의 깨 달음을 증득하겠습니다’라고 발원하는 보리심이고, 행심은 원심을 일으킨 후에 보살의궤를 수지하여 보살의 행으로 나아가는 보리심이다. 원심과 행심의 보리심에도 여러 가지 공덕이 있기 때문에 보리심 을 일으켜 보살의 행으로 나아가는 핵심적인 보리심을 항상 일으켜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문
 Ⅰ. 머리말
 Ⅱ. 『입보리행론』의 주석서와 『삼십육의』
 Ⅲ. 『삼십육의』의 보리심
  1. 보리심의 토대
  2. 보리심의 이익
   1) 모든 악업을 없애고 모든 선법을 증득할 수 있음
   2) 특별한 이름과 의미를 획득함
   3) 보리심의 이익을 비유를 통해 설명함
  3. 보리심의 종류
  4. 보리심을 수습하는 이익
  5. 이익이 생기는 것이 타당함
  6. 보리심을 수습하는 사람을 찬탄함
 Ⅳ.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승규 Yang, Sung-kyu.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