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승경전이 선불교에 미친 영향

원문정보

AbstractInfluences of Mahayana sutra on Seon Buddhism

이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position of Seon Buddhism about academic studies of Seon Buddhism focusing on Dharma, Hui-neng, Jonggo, and Seongchul – among books related to Seon section, ‘Seonlimseungbojeon.’ And then, with ‘Neungga sutra’, ‘Diamond sutra’, ‘Vimalakīrti Nirdeśa Sūtra’, and ‘Avataṃsaka Sūtra’, the author explored deal between Mahayana sutra and Seon Buddhism. As a result, this study drew that Seon Buddhism is reform thoughts as practical thoughts, Seon Buddhism is not only physical connection about previous academic performance but chemical total – under thoughts system of Mahayana Buddhism, all the academic thoughts accumulated until then cleaned up split situation, adapted each other, and became integrated with new eye of originality based on Seon. Furthermore, the author demonstrated that Mahayana sutra, that is, academic studies is used as means which is helpful for practice in the practical view from position of Seon Buddhism. And in the extension line of such position, Seon masters selectively accepted academic studies of Buddhism and creatively developed it. In the end, the difference is that academic Buddhism put side dot on ‘theory’ while Seon Buddhism put side dot on ‘practice’. However, noteworthy one is that there always exist ‘tension(緊張)’ and ‘reverse(反轉)’ in the quote of Mahayana sutra in Seon Buddhism. And it always passes over documentary and empirical relation of simple quote of sutra in Seon. That is, it would be noteworthy that to conclude based on empirical relation between Mahayana sutra and Seon and then, regard it as catching enlightenment and stay there is a kind of deception, which leads to failure – this also shows a good point of Seon.

한국어

이 논문은 우선 선사가운데 달마와 혜능, 종고, 성철을 그리고 선종사서 가운데에서는 『선림승보전』 을 선택하여 선불교의 교학에 대한 입장을 논구하였다. 그런 다음 대승경전으로는 『능가경』, 『금강 경』, 『유마경』 그리고 『화엄경』을 선정하여 대승경전과 선불교 간의 거래(去來)를 궁구하였다. 그 결과로 선불교가, 대승불교적인 사유체계 아래에서, 그때까지 축적된 모든 교학사상이, 분산 상태 에 있던 과정을 청산하고, 선적 독창성이라는 새로운 안목아래, 서로 적응하고 통합되어서 생긴 집대 성이란 결과물이자, 이전의 교학적 성과에 대한 물리적 결합이 아니라 화학적 총합이자, 실천사상으로 서의 개혁사상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대승경전, 즉 교학은 선불교의 입장에서 실천적인 안목에서 수행에 도움이 되는 방편으로 의용(依用)되며, 그러한 입장의 연장선상에서 선사들은 교학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창의적으로 발전시킨다는 점도 논증하였다. 결국 차이는 교학불교가 그 방점을 ‘ 이론’에 놓는다면 선불교는 그 방점을 ‘실천’에 놓는 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기할 점은, 선불교에서의 대승경전 인용에는 언제나 ‘긴장(緊張)’과 ‘반전(反轉)’이 존재한다 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선에서의 단순한 경전 인용이라는 문헌적·실증적 관계를 언제나 넘어선다. 다시 말해서 대승경전과 선과의 실증적 관계에 천착하여, 결론을 내리고, 그것에 대해서 선지(禪旨)를 포착(捕捉)한 양, 안도(安堵)한다는 것은 일종의 기만(欺滿)이 되고 반드시 패착(敗着)으로 귀결(歸結) 된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는 선의 특장(特長)이 된다.

목차

국문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선불교 내에서의 대승교학의 위상
 Ⅲ. 대승경전이 선불교에 미친 영향
 Ⅳ. 나가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덕진 Lee Duck-jin. 창원문성대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