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雲門三句의 전승에 대한 白坡亘璇의 해석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Yün-mên three phrases by BACKPA in Seonmoon - Ojong - Gangyo - Sagi

운문삼구의 전승에 대한 백파긍선의 해석 고찰

김호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eonmoon - Ojong - Gangyo - Sagi is an annotated book of Seonmoon - Ojong - Gangyo by Hwangsung-Jian in the late of Joseon-dynasty. OJONG means the five seon sects formed in the Dang-dynasty. So called, the Southern seon school was divided into the five sects : Lin-chi, Yün -mên, Tsao-tung, Wei-yang and Fa-yen. BACKPA emphasized the Yünmên three phrases by Seonmoon - Ojong - Gangyo - Sagi. That is, the Yünmên three phrases were consist of two types the three phrases. First are original three phrase. Second are acquired three phrase. First are original three phrase. That is to say, (1) hamgaegeongon[函蓋乾坤], (2) mokgisuryang[目 機銖量], (3) bulseopchoonyeon[不涉春緣] by Yünmên. Second are acquired tri-phrase, That is to say, (1) hamgaegeongon[函蓋乾坤], (2) jeoldanjoonryu[截斷衆流], (3) supachooklang[隨波逐浪] by Tȇ-shan. BACKPA emphasized that the Yünmên three phrases are related to three teaching methods[三玄] by Lin-chi I-hsüan. Three teaching methods are so called three kinds of truth. That is to say, (1) the abstruse beyond real[軆中玄], (2)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 namely, ordinary words[句中玄], (3)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玄中玄]. BACKPA compared Yün-mên three phrases with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ordinary words), the abstruse beyond real. And BACKPA compared Yün-mên three phrases hamgaegeongon, jeoldanjoonryu, supachooklang by Tȇ-shan with the abstruse beyond real,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ordinary words),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 And BACKPA Yün-mên three phrases by Fuan-Tao with the abstruse beyond identical with enlightened persons, the abstruse beyond real, the abstruse beyond discrimination or duality(ordinary words). BACKPA concluded that these divergence of opinions about the Yünmên three phrases are from expediencies for promulgating by zen masters.

한국어

운문문언은 당대에 출현한 선종오가 가운데 운문종의 개조로 추앙되는 인물이다. 운문의 선사상은 후 대에 소위 一字關으로 불리웠고, 또한 그 선풍은 雲門天子로 표현되듯이 절제된 언어를 구사하기로 널 리 알려진 선자였다. 그 가운데 운문삼구로 알려진 가르침은 운문 이후에 그들의 제자에 의하여 명칭 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운문의 법어에서 삼구로 알려진 것은 函蓋乾坤·目機銖量·不涉春緣이었다. 이것을 그 제자 덕산원명은 函蓋乾坤·截斷衆流·隨波逐浪으로 정형화하여 크게 유통시켰다. 덕산원명의 운문삼구는 이후로 송대 회암지소의 『인천안목』과 고려시대 진정천책의 『선문강요집 』과 조선시대 환성지안의 『선문오종강요』 등을 통하여 전승되어 내려왔다. 이 가운데서 조선후기 에 백파긍선은 『선문오종강요』에 주석을 붙인 『선문오종강요사기』를 통하여 운문삼구와 軆中玄· 句中玄·玄中玄이라는 임제의 삼현을 적용하여 그 순서를 논하였다. 백파는 운문의 법어에 보이는 본래 에는 중·용·체의 순서로 간주하였고, 덕산원명의 경우는 체·용·중의 순서로 간주하였으며, 보안도 선사 의 경우는 중·체·용의 순서로 간주하였다. 백파는 각각 다른 이들의 순서에 대하여 어느 한 가지에 집 착하지 말도록 내세운 방편이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곧 백파는 운문의 삼구법문에 대하여 그 제자 및 손제자의 시대에 각각 다른 명칭으로 전승되어 적용되었을지라도 그들의 본의는 근기에 따른 방편설 법이었음을 백파는 수용하여 강조하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문
 Ⅰ. 서언
 Ⅱ. 운문삼구의 원형
 Ⅲ. 임제삼현과 운문삼구
  1. 임제의 삼현
  2. 덕산의 운문삼구
 Ⅳ. 운문삼구의 전승에 대한 백파의 해석
 Ⅴ. 결어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호귀 Kim, Ho-gui. 동국대 불교학술원/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