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람림(Lam rim)에서의 죽음 억념과 수행 - 생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editation on Death and Practice in Lam rim - Focused on the viewpoint of ThanatologyT

양정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spective on death and Buddhist practices in Lam rim, the stages on the path to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Thanatology. Death is a natural process of life and death education allows us to die with dignity from the viewpoint of Thanatology. The notion that we should discuss and reflect on how to die, how to care for the dying patients, and how to live is connected with the basic attitude to Thanatology which understands death not only from the physical point of view but also from the spiritual point of view. Lam rim makes us realize human values from the first stage. Tsong-kha-pa classified people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ir aspirations and way of lives. He stressed that our lives should be converted from satisfying our desires to accomplishing the truth. Three levels which are the lower scope, the middle and the higher, show the teachings gradually and the lower and middle scopes are required for the higher to generate Bodhicitta. The higher would not attain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s of Samsara only for himself. He would gladly go into Samsara to save all living things because he went through the two lower practices. The meditation on death reminds us that we die and death comes to all of us without notice. It is extremely rare to be born as a human in Samsara and only human has ideal conditions for attaining Enlightenment, so Lam rim encourages us to practise right now. Lam rim offers theory and practices about how to get people to seek the truth and completion and we can use them for death education.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생사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람림(Lam rim, 道次第)에 나타난 죽음관과 수행 내용을 고찰 하였다. 생사학에서는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보고 죽음 교육을 통하여 존엄한 죽음을 맞을 수 있다 고 말한다. “죽음을 맞이하는 방식, 죽어 가는 환자를 돌보는 방식, 나아가 삶을 영위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와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죽음을 육체적 관점만이 아닌 정신적, 영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생사학의 태도를 보여준다. 람림의 수행체계는 인간 존재의 가치를 절실하게 일깨워 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쫑카빠는 인간의 삶의 방식을 하사, 중사, 상사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배워야 할 가르침과 의요, 실천의 내용을 체계 적으로 설명한다. 그는 욕망 충족의 삶을 궁극적인 진리의 완성으로 점차 전환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 조한다. 삼사도는 단계에 따른 가르침의 내용이지만, 하사도와 중사도는 상사가 공통으로 수행해야 하 는 단계로서 보리심을 내기 위해 먼저 요구된다. 상사가 자신의 적정을 구하지 않고 중생을 제도하고 자 기꺼이 윤회 세계에 들어가는 것은 이러한 체득을 미리 했기 때문이다. 람림에서는 죽음에 대한 억념을 통하여 “우리는 죽는다”는 사실과 “죽음이 예고없이 우리에게 온다”는 사실을 직시하게 한다. 죽은 뒤에 다시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윤회 세계에서 너무나도 희귀한 일 이며 인간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로 지금 수행해야 한다고 말 한다. 람림의 가르침은 범부의 삶을 어떻게 궁극적인 진리의 길, 완성의 길로 이끄는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가르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문
 I. 논의제기
 II. 삼사도의 체계
 III. 람림의 죽음관
 IV. 람림의 생명관
 V. 결론: 삶의 의미와 완성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정연 Yang, Jeong-Yeon. 한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