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교과내용학 >>

인터넷 시대의 소통과 혜강의 변통

원문정보

The Problems of the Communication and Haegang’s Byuntong(or Prescription) in the age of Internet

성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these days, the main trend of our communication is that by the digital device. What we get and what we lose in that way of the communications. Every day we use diverse portable mobile apparatuses of the communication with velocity of light. But we should pay for those convenient devises severely. We come to lose the totality of human being, especially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each other. It could be summarized of deleting three pivotal spaces. Namely deleting the place of the near for the others, deleting the place of ‘in front of the house’ for wondering mind, and deleting the place of meta space for gazing at the life itself. In old days these had been decisive spaces of axis in our everyday life. But now they had faded out in our view. I re -contextualize these three spaces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the serious problems we confront with now. The point is that how we could revive the humanized spaces of the communication with warm flesh and fresh blood. I tried to find out the way of solving these problems with the help of Haegang Choi Han-ki’s insightful thoughts, one of the greatest philosophers in Chosun Dynasty, Korea. Heagang's main idea is the Special Communication through the Great Universe. It is "Un-Wha" Paradigm(it's very hard to explain but loosely can be said, Ki Rotate through the world and change everything properly) "Un-Wha" circulate the universe though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Human being. In this paper I suggest this ‘circulating universe’ mode of totality and the scale of Choi Han- ki’s communication concept. Over and over again, Choi Han-ki said that "Un-Wha" has the special power to break through the every rigid wall of isolations. He prescribed the diverse methods of breaking through the isolation-walls. For example, the Byuntong is one, Jootong is another. The former(the meaning of this is very similar to that of Aristotelian Phronesis) could find out the exact point of the mean (中庸) to dissolve the special warrior to block communicating each other. The latter could dissolve the every universal communication block from heaven to earth, from ancient to current. Of course we should think over and over again the insight of Choi Han-ki’s thought to find out the point to apply to diverse communication problems of our times. But I believe we could get the great help from the visions he had deliberated in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and from the prescriptions he had given us in old times, Chosun Dynasty.

한국어

디지털 신호로 채워지는 스마트폰 사이버 공간 속 소통이 대세가 되어버린 이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가. 고속화, 상시화, 경량화 등으로 요약되는 소통의 편의성을 얻는 대신 육체가 담 보되는 인간적 소통의 총체성을 잃었다. 논의는 먼저 이러한 상실을 ‘세 공간의 삭제’로 재맥락화하고 거기서 야기되는 문제들을 짚어낸다. 세 공간이란 이전에 우리의 생활세계를 채우던 주축적 지평들로 서, 곧 타자들이 들어서던 옆공간, 마음이 서성이던 그집앞, 그리고 삶을 응시하던 메타공간 들이다. 스마트폰 나아가 인터넷 시대의 소통이 어떻게 다시 육체의 인간이 지니는 따뜻함과 간절함을 복원해 낼 수 있을까. 우리의 연구는 조선말 철학자 혜강 최한기의 사유에서 그 가능성과 방법을 모색한다. 혜강사상을 관통하는 운화(運化) 패러다임은 기의 통(通)에 대한 숙고로써 하늘과 인간과 대지, 이 삼 자의 조우를 통해 구축해가는 총체적 소통 개념이다. 본 소론은 혜강의 신기의 통을 실제 삶 속에 접속 시킴으로써 사이버 공간 속에서 소외된 소통을 상통시키고 관계를 변통시키며 어우러짐을 넒혀감으로 써 삭제된 공간들을 회복시키고자 한다. 결국 이 연구는 이러한 혜강의 통찰에 기대어 다음과 같은 비 전을 제시한다. 즉 각자의 모바일 단말기 자판에 손을 얹은 온라인 상태에 있으면서도 사실은 산산이 부서진 소통망 안에서 파편화된 채 고립되어있는 디지털 디바이스 사용자들이 잃어버린 것, 즉 오프라 인에서 온라인으로 두루 통하는 총체적 연관망의 복원을 통해 육체와 대지가 긴밀하게 순환하는 진정 한 소통의 실천적 비전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통(桶)
 Ⅱ. 통(痛)
 Ⅲ. 세 개의 공간
 Ⅳ. 상통(相通)
 Ⅴ. 변통(變通)
 Ⅵ. 주통(周通)
 Ⅶ. 통(通)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지연 Seong, Ji-Yeon.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