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중부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주거의 공간 활용

원문정보

Space Use of Dwelling in the Bronze Age, Central Region of Korea

이형원, 이혜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the perspective of methodology and also as a fundamental work for the study of space inside the dwelling in the Bronze Ag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materials found in dwelling and to recognize the patterns by understanding contexts of excavated relics. In specific, this study investigated space division of inside dwelling focused on fire pot, storage pit and exit. In addition, the location of exit is confirmed in this study which has been less discussed in other literature. Looking carefully into the distribution of relics, storage space includes not only storage pit but also edge of the wall and facilities for rack. On top of that, storage space is confirmed to be used for food process as blades for sharpening and stone plate for sharpening were found in the storage space. Also, the working area is confirmed to produce mainly stone tools, whose work was done near fire pot. Given the fact that cooking tools which showed cooking trace were excavated in fire pot and considering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cooking and eating and lighting, it is confirmed that cooking and eating were done near fire pit. In addition, sleeping is confirmed to be everywhere except storage space. Lastly, majority of dwellings showed changes in their location of exit depending on dwelling’s shape and size. For example, dwelling used to be near short wall; however, it moved toward long walls having elaborated structure due to the increase of family members, later. This also suggests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wellers’ channel of movement and convenience of storage use.

한국어

2013년 한국고고학회의 전국학술대회가 ‘주거의 고고학’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바 있다. 이것은 양 적으로 팽창한 주거지 조사 및 연구 현황을 점검하는 동시에 주거지 검토 수준에서 한 단계 더 나 아가 사회적 주체인 거주자에 대한 관심을 통해 가옥과 거주자를 연결하는 진정한 의미의 가구고 고학 연구를 진행하자는 매우 시의적절한 자리였다. 본고는 그에 촉발되어 부응하는 시도의 일환 이다. 중부지역의 청동기시대 (세)장방형주거 내부의 공간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기초작업으로 주거지 자료의 형성과정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유물 출토 맥락에 대한 패턴 인지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주거 내부 시설인 노, 저장공, 출입구를 기준으로 하여 공간 분할을 시도하였다. 그동안 논의의 진전이 없었던 출입구의 위치는 입지와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단벽 및 장벽 쪽의 두 가지 양상을 모두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물 분포 양상을 통해서 주거 내부의 공간 활용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저장 공간은 저장 공뿐만 아니라, 그 주변 및 벽가 쪽까지 확대되고, 선반시설도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 저장 공간에서는 갈돌과 갈판도 출토되는 점에서 식료품의 가공도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작업공간은 자료의 한계상 석기 제작 중심으로 확인되는데, 노지 주변을 지목할 수 있었다. 노지 에서 조리흔이 있는 자비용기가 출토되고 있는 점과 취사와 식사의 유기적인 관계, 조명 등을 고 려할 때, 두 가지 활동도 노와 그 근접 장소에서 행해졌다고 본다. 취침은 저장 공간을 제외한 전 체 구역에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상당수의 주거는 형태와 규모에 따라 출입구 위치에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주장했 다. 처음에 단벽 쪽에 있던 것이 가구(세대)구성원의 증가에 따라 가옥이 세장화되면서 장벽 쪽으 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거주자의 동선과 공간 활용의 편의성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을 시사한다.

목차

I. 머리말
 II. 주거 내부의 공간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III. 주거 내부 시설과 공간 분할
  1. 노
  2. 저장공
  3. 출입구
 IV. 유물 분포 양상을 통해 본 공간 활용
  1. 저장 공간
  2. 작업 공간
  3. 취사ㆍ식사ㆍ취침 공간
  4. 공간 활용과 거주 동선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형원 Lee, Hyung Won. 한신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
  • 이혜령 Lee, Hye Ryeong.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