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역 귀환 고려인의 이주배경과 특성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Return Diaspora of Koreans in Gwangsan-Gu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김재기

재외한인학회 재외한인연구 제32호 2014.02 pp.139-16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Korean Diasporas are returning . Mainly residing in the former Soviet Union and Chinese Korean Diaspora. The relative size of Garibong-Dong or Daerim-Dong of Seoul and Ansan Ttaetgol and Gwangju Gwangsan of Koreans from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Israel government is complex and difficult to manage problems efficiently returning Diaspora dedicated to the Immigration Department to support the settlement in creating a stable viscosity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is paper, the recent return of the Korean Diaspora in Central Asia is a treatise on the return of fellow Koreans. The Gwangju metropolitan area of the living in through Gwangsan-gu they return to check o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area, they can find ways to settle. A number of Central Asia Koreans who recently immigrated to South Korea have settled down in Gwangju. Central Asia Koreans chose to live in Gwangju because of its lower cost of living and because of their own well-established local community here. The recent survey taken with 33 of the Central Asian Korean residents currently living in Gwangsan-gu district. According to his survey, Korean residents currently living in the city are third and fourth generation Koreans who are descendants of people forced to move to Uzbekistan and Kazakhstan back in 1937 while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we should study Israel’s immigrant policies, we must also deeply consider how they can be adapted to South Korea and what effects we can expect before any integration.

한국어

이 논문은 한인 디아스포라 중 중앙아시아 고려인 동포들이 한국으로 귀환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 이다. 그 중 수도권이 아닌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거주하는 고려인 33명의 면담을 통해 그들이 귀 환하게 된 배경과 거주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90%이상이 우즈베키스탄 출신이며 중앙아시아를 떠나게 된 이유는 경제적인 요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광주를 선택한 것도 경제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고려인들이 광주 로 지속적으로 이주하는 요인으로 서울이나 경기에 비해 거주 비용이 낮기 때문이다. 광주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은 주로 공단의 단순 근로자나 공사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으며, 월 평균 160만 원 정도의 소득을 얻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려인의 81%가 매월 50만 원 정도 우즈베키스 탄 가족에게 송금을 하고 있다. 전체의 24%가 매월 34 만 원 정도의 저축을 하고 있다. 매월 50만 원 정도의 송금액은 우즈베키스탄에서 중상류 이상의 월급에 해당된다.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 싶 다는 의견이 90%가 나왔다. 고려인들이 한국사회에 정착하는데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한국어 능력인데, 고려인들은 듣기를 제외하고는 다른 능력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고려인들 간에 대화도 대부분이(96%) 러시아어로 소통하고 있다.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혀 다른 삶의 공간에서 디아스포라로서 살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귀환하여 이스라엘 국민으 로서 정체성을 갖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하고 있는 모습은 성공적 다문화 이민 정책의 대 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6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는 이스라엘의 정책은 한국의 다문화 정책뿐 만 아니라 재외동포정책, 귀환 동포정책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한민족 디아스포라와 고려인의 귀환(Return Diaspora) 현상
 III. 광주 광산구 고려인 귀환 디아스포라 거주 특성
 IV. 광주 광산구 거주 고려인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안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재기 KIM JAI GI.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