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번역문

지리학적 위험연구의 관점들

원문정보

Perspektiven der geographischen Risikoforschung

데틀레프 뮐러만, 황진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세월호 참사,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에 관한 언론보도 를 통하여 이제 대중들에게 위험(risk)은 매우 중요한 용어가 되었다. 이를 반영하 여 학계에서도 위험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국내 위험연구는 자 연과학이나 공학의 영역으로 한정된 것으로 간주되면서 위험을 사회와는 독립된 자연현상 혹은 기술적인 사안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을 비판 적으로 조망한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의 󰡔위험사회󰡕(새물결, 1997)의 국내 출간은 위험이 사회와 자연의 긴밀한 상호작용의 산물임을 환기시 켰다. 이번에 ≪공간과 사회≫에 소개하는 소논문은 2007년 독일 지리학 학술지 인 Geographische Rundschau 59권 10호에 “지리학적 위험연구의 관점들(Perspektiven der geographischen Risikoforschung)”이란 제목으로 실린 것을 국문으로 옮 긴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저자인 데틀레프 뮐러만(Detlef Müller-Mahn) 교수는 위 험연구를 둘러싼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간의 대립이 위험연 구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들 간의 통합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 언한다. 특히,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 개념에 내재된 비공간적인 특성을 비판하면 서 위험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그간 국내 환경 사회학, 정치생태학 분야에서 울리히 벡의 개념 수용에 비교적 관대했다는 점에 서 이번 번역이 관련 국내 논의를 자극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에 뮐 러만 교수는 자신이 책임 편집한 The Spatial Dimension of Risk: How Geography Shapes the Emergence of Riskscapes(Routledge, 2012)를 출간하면서 위험의 공간적 이 해를 함축한 개념인 위험경관(riskscape)을 제시했다. 수십 년간 북아프리카 지역 연구를 활발히 해왔었던 그는 최근 역자와 함께 위험경관 개념을 한국을 중심으 로 동아시아에 적용하는 작업과 더불어 아프리카와 아시아 두 대륙 간의 비교연 구를 구상 중이다. 지난해 12년간 재직했던 바이로이트(Bayreuth) 대학에서 본 (Bonn) 대학으로 옮기면서 본 대학과 가졌던 영어 인터뷰를 통해서도 그의 문제 의식을 확인할 수 있겠다(“Interview with Detlef Müller-Mahn, new professor for development geography at the University of Bonn”, http://www.youtube.com/ watch?v=S_Wl7OPr_s4).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위험’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3. 위험사회로부터 세계위험사회로
 4. 재해의 국면?
 5. 위험, 공간, 그리고 행위
 6. 전망: 지리학적 관점에서의 ‘위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데틀레프 뮐러만 Detlef Müller-Mahn. 저자, 독일 본(Bonn) 대학 지리학과 교수
  • 황진태 역자, 독일 본 대학 지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