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미술에서 지하철 도자벽화의 역할과 의의 - 부산지하철 도자벽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oles and Meanings of the Subway Ceramic Wall Mural in Public Art -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Busan Subway Ceramic Wall Mural-

오정선, 원주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blic art that was mentioned by John Willett in 1967 for the first time has the purpose to give benefits to the whole members of society instead of the subjects of specific individuals or a minority by locating the art works of museums or galleries at public space. The subway ceramic wall mural formed in public space allows aesthetic functions, directions and places, and functions as a landmark to symboliz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alleviates the negative factors that can be brought abou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underground space and offers emotional refine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o users and a chance them to appreciate original works in public space so that the general public's desire for aesthetic consumption is satisfied, and public consciousness that anybody can possess and enjoy art can be given. This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subway ceramic wall mural as public art with an emphasis on the Busan Subway and examined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wall mural projects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the domestic ceramic wall murals as public art. As a result, the status of the domestic subway ceramic wall mural production depends on the subjective work quality of artists or specialists that mostly lack in the mutual respons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From the case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diverse public art projects, this paper suggests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subway ceramic wall murals that reflect the community life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vention.

한국어

1967년 존 윌렛에 의해 처음 언급된 공공미술은, 미술관이나 갤러리의 미술을 내부공간에서 공공공간에 위치시켜 특정한 개인이나 소수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전체를 위한 혜택이 목적이다. 공공공간에 조성되어있는 지하철 벽화는 심미적 기능과 방향성, 장소성을 부여하며 지역의 특성을 상징화하는 랜드마크 기능을 한다. 또한 지하 공간의 한계성으로 발생 되는 부정적인 요소를 완화시켜 이용자의 정서적 순화와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호소력 있는 공공공간에서 원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대중들의 미적수용욕구 충족과 누구나 미술을 소유하고 향유할 수 있다는 공공의식을 갖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미술로서 지하철 벽화의 현황을 부산지하철을 중심으로 파악해 보고 국내의 공공미술로서 도자벽화 설치와 국외의 지하철 벽화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내 지하철 벽화제작 현황은 미술가나 전문가들의 주관적 작품성에만 의존한 것들로 대중의 교감과 소통, 참여가 결여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국내외의 다양한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사례들을 모델삼아 향후 지하철 벽화 조성에 있어서 지역공동체의 삶이 반영되고 보다 많은 참여와 개입이 가능한 벽화 조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과 방법
  3. 연구사 검토
 Ⅱ. 지하공간과 지하철 벽화
  1. 지하공간의 특성
  2. 지하철 벽화의 필요성과 사례
  3. 지하철 벽화의 기능
  4. 도자벽화의 특성(차별성)
 Ⅲ. 부산지하철 벽화 현황 분석
  1. 조사개요
  2. 현황 연구
 Ⅳ. 공공미술로서의 지하철 도자벽화의 방향
  1. 공공미술의 발전단계
  2. 제안 - 공공미술로서의 지하철 도자벽화 조성
 Ⅴ. 결론
 도판 및 도표목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정선 Oh, Jeung Sun. 부산대학교 조형학과 강사
  • 원주안 Won, Ju An. 부산대학교 조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