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말 극락정토계 불화의 傳承과 創意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and Artistic Creativity of the Pure Land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말 극락정토계 불화의 전승과 창의

장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focused on Buddhist paintings of the Pure Land of Bliss, the world in which the vows of Amitabha are realized, that were produced as a result the popularity of the Pure Land Buddhis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especially on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paintings seen from the viewpoints of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and artistic creativity. Consid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late Joseon paintings of the Pure Land Buddhism can be approached through their relation with religious heritage or cultural tradition of the period in which they were produced. Pure Land Buddhism in Korea was developed into a tradition through its propagation among ordinary peopl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led to wide spread Buddhanusmrti meditation practices and the organic development of Buddhist rituals, poetry and art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Pure Land paintings were by products of this cultural development. The primary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are a selection of thirteen paintings of the Pure Land Buddhism, which was already firmly established among ordinary Buddhist worshippers in Korea by the late Joseon Period. The discussion concentrates on the titles, painters, history and characteristic techniques of the paintings. In the following discussion, som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Pure Land paintings of late Joseon are highlighted in terms of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and creative artistic exploration. The discussion of the first topic,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involved Amitabha paintings and illustrations of the 18th century that had either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upon the formation of the Pure Land paintings of late Joseon, such as The Nine Stages of Paradise(Geungnak Gupumdo, 1778) in Simjeogam Hermitage of Jikjisa Temple; A Shortcut to Rebirth through Buddhanusmrti (Yeombul Wangsaeng Cheopgyeongdo, mid-18th century) in Eunhaesa Temple; Amitabha Assembly (Mitahoedo, 1767) of Gaesimsa Temple; and Amitabha Buddha(Amitabuldo, 18th century) of Ssanggyesa Temple. A closer look at the paintings shows that the painters adopted artistc elements of the period, while re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These Pure Land paintings also reveal that the painters adopted images of Buddhist figures from individual paintings depicting Buddha giving a sermon, the eight phases of the Sakyamuni ’s life, arhats, divine guardians, and the “sweet dews”. The discussion of the second topic, artistic exploration, is focused on the history and symbolic meaning of the image of the preaching Buddha, lotus pond, bejeweled lotus, seven-treasure tree and other elements on the basis that the Pure Land of Bliss is the unity of a body and its material environment. Finally, a study of the types represented by The Nine Stages of Paradise (1778) in Simjeogam Hermitage of Jikjisa Temple and the one (19th c.) housed in Heungguksa Temple in Goyang reveal a clear difference in style according to the aesthetic objectives pursued by each painter.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말기 대중적 정토신앙의 활성화를 배경으로 조성되었던 이른바 ‘아미타여래의 願이 성취된 세계’인 극락정토계 불화에 대한 검토이며, 특히 전승과 창의의 관점에서 이 불화의 특징을 부각시켜보고자 하였다. 먼저 조성배경을 살펴보았다. 조선말 극락정토계 불화는 당대의 대중적 불교신앙 또는 대중적 불교문화의 틀로 접 근할 수 있었는데, 통일신라 이래로 대중을 포섭하며 전통적으로 근간을 유지해온 우리나라 정토신앙은 조선말 대 중 염불결사가 확산되었고, 더불어 불교의례, 불교가사, 불교미술 등의 분야가 유기적으로 발전하면서 하나의 문화 양태를 이루었으며, 극락정토계 불화도 그 당시 부산물로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일차적 자료는 이미 인식이 저변화된 당대 전형적인 극락정토계 불화 13점을 선별하여 화제·화사· 화본의 연원 및 작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전승과 창의, 즉 전통의 계승과 창의적 모색이라는 상대적 개념을 대두시켜 조선말 극락정토계 불화의 면면 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부각시켜보고자 하였다. 먼저 전통의 계승으로는 조선말 극락정토계 불화의 형성에 직간접 영향을 준 18세기 관경변상도류의 작품들 즉 직 지사 심적암 <극락구품도>(1778),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18세기 중엽), 개심사 <미타회도>(1767), 쌍계사 < 아미타불도>(18세기)등의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불화가 여말선초 관경변상도의 과도적 성격을 지니거나 시 대적 요소를 수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조선말 극락정토계 불화가 설법도·팔상도·나한도·신중도·감로도 등 기존의 여러 주제 불화들로부터 도상들을 차용해 조합했음을 살펴보았다. 다음 창의적 모색으로는 극락정토가 正報莊嚴과 依報莊嚴의 조합임을 인식하여 설법상·연지·보련·칠보수·일상 등 의 연원 및 상징성과 의미성을 알아보았고, 다시금 유형별로 구분해 심미성 추구와 화본의 응용을 살펴보았는데, 즉 직지사 심적암 <극락구품도>(1778) 유형과 고양 흥국사 <극락구품도>(19세기) 유형 그리고 기타유형들은 다양 한 심미성 추구와 동일 화본의 차용 또는 부분 발췌에 있어서 매 작품마다 화사의 개성을 반영해 화풍이 차별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성배경
 Ⅲ. 주요작품
 Ⅳ. 전승과 창의
 Ⅵ. 맺는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장희정 Jang Hee-jeong. 금강문화관 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