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의 상징성 연구 - 송기숙의 『녹두장군』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Symbolism of Mt. Jiri Regions - With focus on Nokdu Janggun of Song, Ki-sook

조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mbodying the whole proces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this study aims to analyze Song, Ki-sook's Nokdu Janggun whichkeeps 'Mt. Jiri' as the central axis of narration space, to investigatethe symbolic meaning of Mt. Jiri and then, to find Mt. Jiri's'cultural identity', which the writer intends to express through thesymbolic meaning. First of all, in order to determine the symbolic meaning of Mt. Jiri newly recreated by Song, Ki-sook, the introduction suggestedtwo reasons why he considered Mt. Jiri as the center instead ofGobu or the 4 government-designated battlefields as the center ofnarration space. The first reason is the experience of Song, Ki-sookwho shut himself up in Piagol Valley to write Nokdu Janggun afterhe got out of Gwangju Correctional Institution due to the 5․18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other reason is that he putemphasis on the 'cultural identity' contained in Mt. Jiri, a spacewhich would best reenact the historical incident of the DonghakPeasant Revolution. It is possible that the attribute of a historicalnovel is a 'reproduction of an historical incident'. Song, Ki-sooksymbolically embodied Mt. Jiri as the central space of the DonghakPeasant Revolution in order to save the spirit and soul held only by Mt. Jiri. In Nokdu Janggun, Mt. Jiri is not Mother Nature itself but is acreatively reorganized space by reflecting his world view. Song,Ki-sook symbolically showed the space of Mt. Jiri in the following3 phases as if he had displayed the history of Mt. Jiri according toa development proces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firstsymbolic meaning of Mt. Jiri is that it was a revolution space as 'astarting place of Donghak thought' which made live coals of the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second symbolic meaning is thechange of Mt. Jiri from an escape space to a central space of aresistance movement. Mt. Jiri, formerly thought of as a shelter, wasnow systematically prepa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third symbolic meaning is that it was an ignition point ofproliferating revolution ideology as well as a space of integrity. Themeaning of Gyoryongsanseong in Namwon was changed from aplace where Choi, Je-Woo first performed a sword dance to a placewhere Kim, Gae-nam used his sword. Therefore it becomes asymbolic space showing that 'it is rational to cope withnon-rationality if non-rationality rules the world'. It i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identities' of Mt. Jiri, whichSong, Ki-sook intended to express through the above 3 symbolicmeanings, are 'Joseon's soul', 'Mt. Jiri's soul', and 'Mt. Jiri'ssword'. These contain revolutionary ideology. Mt. Jiri was thesource of Donghak thought, which was the 'Joseon's soul', and itbecame 'Mt. Jiri's soul' which sublimates the people's resentment ofa new life. It does this by securing historical integrity to become acenter of resistance movement from a shelter. And, Choi, Je-Woo'scomment that 'it is rational to cope with non-rationality ifnon-rationality rules the world' as well as Kim, Gae-nam's swordbecomes 'Mt. Jiri's sword' and symbolically expresses that a timeof 'revolution' can come anytime in the future. As such, NokduJanggun reveals the history of mentality and resistance held only by Mt. Jiri through various tales, secrets, and predictions so that it isevaluated as a work best expressing the 'cultural identity' of Mt. Jiri. Currently, spaces in literary works are being developed asvarious cultural contents as per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if dynamic cultural contents conforming to symbolicmeaning and cultural identities contained in Nokdu Janggun aredeveloped according to this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Mt. Jiri'will become a new culture creation space instead of a mere physicalexistence.

한국어

본 연구는 동학농민혁명의 전 과정을 형상화하면서 ‘지리산’을 서사 공간의 중심축으로 하고 있는 송기숙의 『녹두장군』을 분석하여, 지리산이 갖는 상징성이 무엇인지 살핀 후, 그 상징성을 통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했던 지리산 의 ‘문화 정체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서론에서는 송기숙에 의해 새롭게 재창조된 지리산의 상징성을 밝히기 위해, 그가 작품의 서두에서부터 말미 까지 긴밀하게 서사의 중심에 지리산과 지리산 권역인 남원을 두고 있는 이유 두 가지를 밝혔다. 하나는 송기숙이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광주교도소에서 출옥한 뒤,『녹두장군』을 쓰기 위해 피아골에 칩거했던 개인적 체험이 었다. 다른 하나는 지리산 권역인 남원이 왜적과 치열하게 싸웠던 절의의 공간이라는 역사성과 남원을 중심으로 동 학농민혁명을 이끌었던 김개남의 협객과도 같은 의기를 높이 평가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녹두장군』에서 지리산은 대자연 그대로가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을 투영시켜 재구성한 창조된 공간이다. 송기 숙은 지리산이라는 공간을 동학농민혁명의 진행 과정에 따라 마치 지리산의 역사를 펼쳐 보이듯 다음과 같이 세 단 계로 나눠서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지리산의 첫 번째 상징성은 동학농민혁명의 불씨를 지핀 ‘동학사상의 진 원지’로서 변혁의 공간이다. 두 번째 상징성은 피난지였던 지리산이 동학농민혁명을 조직적으로 준비하면서 도피 의 공간에서 저항운동의 중심 공간으로 변모했다는 점이다. 세 번째 상징성은 절의와 주체 자각의 공간이다. 특히 남원 교룡산성은 최제우가 처음 칼춤을 췄던 장소에서 김개남이 자신의 칼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의미가 전이되어 ‘역리가 세상을 지배할 때는 역리로 대처하는 것이 되레 순리’임을 보여주는 상징적 공간이 된다. 송기숙이 이상의 세 가지 상징성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지리산의 ‘문화 정체성’은 변혁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는 ‘조선의 혼’과 ‘지리산의 혼’ 그리고 ‘지리산의 칼’임을 확인하였다. 지리산은 ‘조선의 혼’이라는 동학사상의 진원지 였으며, 피난지에서 저항운동의 중심지로 거듭나는 역사적 진실성을 확보하여 민중의 한을 새로운 생명력으로 승 화시킨 ‘지리산의 혼’이 되었다. 그리고 ‘역리가 세상을 지배할 때는 역리로 대처하는 것이 되레 순리’라는 최제우와 김개남의 칼은 ‘지리산의 칼’이 되어, 앞으로도 ‘혁명’의 시기는 언제나 도래할 수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이렇듯 『녹두장군』은 지리산만이 가지고 있는 정신사와 저항의 역사를 다양한 설화와 비결, 참언 등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지리산의 ‘문화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따라서 최근 문학 속의 공간들이 각각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 맞게 『녹두장군』에 내포된 이러한 상 징성과 문화 정체성에 부합할 수 있는 역동적인 문화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지리산’은 그저 물리적으로만 존재하는 대상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 창출의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목차

Ⅰ. 서론
 Ⅱ. 동학사상의 시원
 Ⅲ. 도피와 저항운동의 중심지
 Ⅳ. 절의와 주체 자각의 공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은숙 Cho, Eun-sook.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