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교육>

한국어 듣기교육 연구의 통시적 고찰

원문정보

Diachronic review of research on Korean listening education

정선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diachronically and reconsiders the way researchers should pursue for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of Korean education, listening education’s past and present status quo were reviewed and investigated. Although the research of listening education is meager compared to other researches, it rapidly increased since 2005, and the number of thesis shows a preponderance of articles in journals since 2010. The object of the study of listening education were mostly beginners, but since 2005,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from diverse nationalities,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Korea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became the object of the research. As to the goal of study, general and academic purpose was mainly investigated, but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studies focusing on women who marry Korean men. By topics, teaching methods and theory of textbooks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research, but new teaching methods such as media, strategies, and functional linkage have been researched since the late 2000s. The rate of research of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was low, and analysi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as a main subject of research. Due to the lack of listening textbooks and independent curriculum, recent listening research still focuses on the same old content as previous studies. To solve this problem,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teachers, text book writers, proficiency test makers, and researchers is needed. And not only research activities of specialists, foreign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but also an adequate research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듣기교육 연구물을 통시적으로 고찰해 보고 듣기교육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재고(再考)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선행연구사를 토대로 듣기교육의 과거 와 현재의 위치를 살피고, 지금까지 연구 결과물들을 검토하였다. 듣기교육 연구는 다른 연구에 비해 빈약하지만 2005년 이후 급증하였고, 2010년부터는 학술지 논문보다 학위 논문의 수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다양화로 듣기교육 연구 대상은 초기에는 주로 초급이 많았 으나 2005년 이후 중급과 고급으로 변하였고, 학습목적별로는 일반목적, 학문목적, 이주여성으로 연구 대상이 점차 바뀌었다. 주제별로 교수법과 교재론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매체 활용이나 전략, 기능 연계와 같은 새로운 교수법의 시도도 보였다. 듣기 평가를 주제로 한 연구는 낮은 비율을 보였고, 주로 한국어 능력시험 분석이 많았다. 한국어 듣기교육 연구는 독립된 듣기교육과정과 듣기교재의 부재 속에서 초기부터 기본적으로 동일한 논지의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과 연구자와의 소통을 모색하고, 전공자와 교사, 그리 고 외국인 연구자들의 연구를 권장하고 바람직한 연구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자료수집 및 분류
 3. 듣기교육 연구의 분야별 고찰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선화 Jeong, Sun-hwa.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의전담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