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some difficulties in orthography due to the discrepancy of the syllabic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English. Consonant clusters are not permitted in the places of the onset and coda of a syllable in Korean while they are in English. The difference between two languages exposes some problems in transcribing English loanwords into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mong these problems, we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sequence of liquid and nasal consonants, and obstuent and sonorant consonants. It is suggested that [ɯ] should be inserted between liquids and nasals, irrespective of becoming the syllabic consonant, and that in the case of the sequences of the obstuents and liquids, whose sequences usually become the syllabic consonant, [ɯ] is put between the sequences, too.
한국어
이 글은 한국어의 음절 구조와 영어의 음절 구조가 상이하여 발생하는 표기법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한다. 한국어에서는 음절 초와 음절 말에 자음군을 허용하지 않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가능하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영어에서 온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데에 여러 문제가 노정된다. 이러한 문제 중에서 우리는 유음과 비음 연속체의 표기와 장애음과 공명음 연속체의 표기에 대해 집중한다. 첫 번째의 경우는 그 연속체가 음절 자음이 되느냐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음군 사이에 ‘으’를 삽입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두 번째 경우, 이것은 음절 자음이 되는 연속체의 경우인데, 역시 자음군 사이에 ‘으’를 넣어야 한다고 제의한다.
목차
1. 서론
2. 장애음 표기법
3. 공명음 표기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