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어학>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과 규정 기능 - 양식적 공간명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bound usage of spatial nouns andthe post-nominal modification

이영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at we need to categorize each bound/ dependent usage and free/independent usage in relation to modal spatial nouns. The bound usage of the modal spatial nouns same as bound nouns are characteristic of syntactic boundness. Furthermore, they have relational and notional/formal meanings. In terms of grammatical description, we have to categorize these modal spatial nouns in relation to the bound noun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might support for the argum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s for the expansion of an extent of the bound noun. Meanwhile, the modal spatial nouns which included to dependent usage of nouns have functions as post -nominal modifiers. These functions are equal to the syntactic properties of the functional elements. The semantics of these nouns are included with [circumstance], [condition], [background], [resultative] and [(specific) extent] which are related to the relational, notional and formal meanings of the bound nouns. These properties of the modal spatial nouns as like functional elements need to b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bound nouns.

한국어

본고는 양식적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을 자립 용법과 구별하여 범주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식적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은 의존명사와 마찬가지로 통사적 의존성을 특징으로 한다. 의존명사의 개념을 통사적 의존성의 명사로 확대하고자 한 일련의 선행연구들의 주장에 따르면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도 확대된 의존명사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들은 선행 성분을 규정(規定)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것은 기능요소에 대비되는 문법적 특성이며, 의미도 [상황], [조건], [환경]이나 [결과], [(특정) 범위] 등 의존명사처럼 관계적이고 추상/형식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통사적으로 의존적이고 기능요소적인 특성으로 볼 때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는 자립명사로부터 구별하여 의존명사와 관련시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의존명사 개념의 확대와 필요성
 3. 양식적 공간명사의 분포와 의미
 4. 양식적 공간명사의 규정 기능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제 Lee, Young-je. 고려대학교 BK21 플러스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