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어학>

후기중세국어시기의 ‘-에셔’의 形成 過程에 대한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에셔(esyeo)’in the latter part of Middle Korean

후기중세국어시기의 ‘-에셔’의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

南基卓, 趙宰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의 目的은 후기중세국어 시기의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는 副詞格助詞 ‘-에셔’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셔’의 형성과정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에셔’의 形成 過程에 관한 論議들은 ‘-에 이셔’가 축약된 것으로 보는 견해와 ‘시-+-어’가 축약되어 문법화를 거친 ‘-셔’와 ‘-에’가 결합하여 ‘-에셔’가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견해로 나누어진다. 본고는 두 논의를 음운론적인 방법과 형태론적인 방법으로 고찰하였고, 통시적인 변화상까지 고려하여 문법화를 거친 ‘-셔’와 ‘-에’가 결합하여 ‘-에셔’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기타언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existing theories for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dverbial case marker, ‘-에셔’ in the latter part of Middle Korean and to study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에셔’. According to existing theories for ‘-에셔’ so far, there are two theories for the process of formation of ‘- 에셔’. One is ‘-에 이셔 >-에셔’ and the other is ‘-에+-셔(<시-+-어)’. Above all, the first one, ‘-에 이셔 >- 에셔’, has been considered as a influential one. Of course, the theory ‘-에 이셔 >-에셔’ was arrived at a conclusion through a close investigation about literature on the latter part of Middle Korean. However, we need to verify the theory ‘-에 이셔 >-에셔’ because we have been discovering new literature and the method of study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So, we try to examine theories for the process of formation of ‘-에셔’ and inquire into the process of formation of ‘-에셔’. To do this, we try to verify the theories and find out the problem of the theory ‘-에 이셔 >-에셔’. Also, we determine that the theory ‘-에+-셔(<시-+-어)’ is more plausible. Finally, we study the process of formation of ‘-에셔’ that ‘-에셔’ was formed after the grammaticalization of ‘시-+-어 >-셔’ with new materials and new method.

목차

국문초록
 1. 緖論
 2. ‘-에셔’의 先行硏究
 3. 旣存 論議의 考察
 4. ‘-에셔’의 形成 過程
 5.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南基卓 남기탁.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정교수
  • 趙宰亨 조재형. 전남대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