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산지역 해양축제 의례의 유형에 따른 시공간의 구조적 특성

원문정보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ime and Space Classified by the Ocean Festival Ceremony Types in the Busan Area

김동철, 유재우, 오기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ime and space among various types of regional festival ceremonies by applying the theory of ‘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which was first proposed by the philosopher of religion, Mircea Eliade. According to his book ‘The sacred and the profane’, time-space in the traditional ritual ceremonies usually changes from mythological place, through a process of symbolization, to ordinary community place to accommodate the play of people. Continuous repetition of these changes in the traditional festivals provides a ‘temporary unusual (sacred) place within the usual ordinary (profane) place.’ From the analysis of the ocean festival ceremonies in the Busan area, the foll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the common function and meaning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various festival ceremonies. Most port festivals in the Busan area focused mainly on commercial events absent from the ceremonial monument of the region. However, beach festivals still maintained the traditional ritual customs as well as the modified motifs which show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entral space structures using symbolic elements in modern urban festivals have been changed into multi-central or pluralistic elements to satisfy the needs of programs in contemporary urban festivals. In traditional ritual festivals, as soon as the sacred time has finished, the time for the play automatically follows. We could see this kind of phenomenon as an appearance of unusual closeness and openness of space-time in beach festivals, even though it is on aspect of a weakened and transformed state.

한국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부산지역의 해양축제가 태동된 문화적 배경인 종교적 의례에서의 신화적 장소론에 근 거하여 시공간적 기능과 상징성의 이해를 통해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축제의 근원이 되는 의례(儀 禮)행위에 대한 이론 연구를 통해 부산의 해안지역의 해양축제를 대상으로 축제의 주제에 따라 현지에서 전개 되는 공간적 활용과 행태를 중심으로 축제의 구조적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론적인 틀은 종교형태학자인 엘 리아데(M. Eliade)의 신화적 장소론을 바탕으로 현대 도시축제에서 진행되는 양태와 도시축제 공간적 활용범 위와 행태를 비교해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부산 해양축제의 공간성의 차원에서는, 전통적의례형 축제에서는 경계요소인 상징물을 이용하는 중 심형 공간구조가 나타나는 반면, 현대 도시축제에서는 필요한 프로그램에 따라 일부가 대체되거나 다중심적 인 형태로 진행되거나, 소주제별로 다원화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축제의 목적에 따라 중심공간을 고 정적인 중심과 임시적 경계부 등 축제 공간의 확산이나 공간적 이동에 의해 축제의 중심공간이 이동하거나 변 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축제의 시간성 차원에서, 전통의례형 축제에서는 의례가 시작되며, 성스러운 시간과 성적(聖的) 의례가 종료되면서 주민들의 놀이행위를 위한 시간으로 연결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반면, 해양특 산형 축제에서는 의례적인 시간은 생략되고, 바다로부터 생산물을 수확하는 순간으로 대체된다. 해변문화형 축제의 경우, 전통 의례인 위령제나 풍어제 등을 통해 일부 약화되고 변형된 의례의 시간이 연출되어, 일상과 비일상적인 시공간의 열림과 닫힘의 체험이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대상과 방법
 2. 이론 연구
  2.1 축제의 기원과 개념
  2.2 축제의 공간과 시간
 3. 부산지역 해양축제의 현황과 특성
  3.1 부산지역 해양축제 현황과 유형
  3.2 부산지역 해양축제 의례적 특성과 시공간 분석
  3.3. 부산지역 해양축제의 유형별 시공간 변이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철 Kim, Dong-Cheul.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공학석사
  • 유재우 Yoo, Jae-Woo.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공학석사
  • 오기환 Oh, Kie-Whan. 동서대학교 건축설계학전공 부교수, 건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