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단독주택지 내 초등학교 주변 보행환경에 대한 초등학생 만족도 연구 - 일산신도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Students’ Satisfaction for Pedestrian Environment around Elementary School in Detached Housing Area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in Ilsan New Town -

김슬기, 이유미, 김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edestrian environment in detached housing area has a problem with traffic safety caused by unsystematic road plan, inconvenience of use for not taking children into consid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evaluate the user’s satisfaction around elementary school in detached housing area in Ilsan. A field survey and question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in respect of safety, convenience and comfortability in 10 pedestrian roads of 5 elementary schools in front of main and back gat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more than 2 schools, pedestrian satisfaction of main gate is highly correlated with vehicle traffic, vehicle speed, traffic signs, condition of pavement, materials of pavement, width of pedestrian road, difference of floor level, illegal parking and the number of pedestrians. Similarly, in more than 2 schools, pedestrian satisfaction of back gate is highly correlated with vehicle traffic, difference of floor level. In 5 schools’ main gates, there is a satisfaction difference in evaluation items on difference of floor level, plant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In 5 schools’ back gates, there is a satisfaction difference in evaluation items on the number of bikes, traffic signs, materials of pavement, the number of pedestrians.

한국어

공동주택지와 달리 단독주택지의 보행환경은 체계적이지 못한 도로계획으로 인해 교통안전문제 뿐만 아니라 어린이 보행자를 고려하지 않은 환경으로 주의력이 낮은 초등학생들이 이용에 불편함을 겪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일산신도시에서 단독주택지에 위치한 초등학교 주변 보행로를 대상으로 보행환경을 분석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는 일산 단독주택지의 5개 학교를 중심으로 정문과 후문에 면한 보행로 10개 구간을 대상으로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측면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5개 학교 중 2개 이상 초등학교에서 정문 보행환경 만족도는 차량 통행 만족도, 차량 속도 만족도, 교통안전표지판 만족도, 보행로포장상태 만족도, 보행로포장재료 만족도, 보행로 폭 만족도, 보행로 단차 만족도, 불법 주차차량 만족도, 사람 통행량 만족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5개 학교 중 2개 이상 초등학교에서 후문 보행환경 만족도는 차량통행 만족도, 보행로 단차 만족도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었다. 5개 초등학교에서 보행환경 만족도 차이가 유의했던 항목은 정문에서 보행로 단차, 식재 및 조경, 사람 통행량이었고, 후문에서 자전거 통행량, 교통안전표지판, 보행로포장재료, 사람 통행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e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선행연구 고찰
  2.2 용어 정의
 3. 조사개요 및 현황
  3.1 평가개념 및 평가항목 선정
  3.2 조사대상지 선정
  3.3 조사대상지 개요 및 현황분석
 4. 만족도 분석
  4.1 조사대상자 특성
  4.2 보행환경과 평가항목 만족도 간 상관관계분석
  4.3 보행환경 만족도 비교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슬기 Kim, Seul-Ki. 상명대 대학원 생활환경학과 석사과정
  • 이유미 Lee, You-Mi. 상명대 소비자주거학과 교수, 공학박사
  • 김서영 Kim, Seo-Young. 상명대 대학원 생활환경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