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누리과정’을 통해 본 교육정책과 소통의 문제 : 일간지 보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ducational Policy and Communication through ‘Nuri’ Course : on the focus of Newspapers

전숙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egration of infant child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a concern for many years at the national level. In this paper, I've summarized the process that child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integrated to Nuri course in the article of the daily newspapers and have examined how the education policy communicated within our society. This controversy was not be social concern over a long period of time, but a great deal of interest was beginning due to the expansion of Nuri course and fre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ve been able to discover the lack of communication about the issue, unilateral decisions by political interests, the free educational problem to become personalized and materialized. Through this study, we can know that the need of sufficient time, the social consensus decision and conversation about essential issues is required to establish education policy.

한국어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통합 문제는 유아교육, 보육계의 오랜 관심거리였다. 이 글에서는 유·보 통합이 누리과정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일간지 보도를 통해 시기별로 구분해봄으로써 우리 교육정책이 사회적으로 소통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학계와 정부, 기관의 관심과는 달리 유·보 통합 문제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되지 못하다가, 5세 누리과정이 3-4세로 확대되고 무상교육이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 담론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유·보 통합과 누리과정은 쟁점화 되는 과정에서의 대화와 질문의 부족,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한 일방적 결정, 개인적이고 물질적인 문제가 되어버린 무상교육 문제까지 사회적 소통을 막은 여러 문제들이 뒤섞여 나타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정책 수립에 충분한 시간 확보, 정책결정의 사회적 합의, 본질적인 쟁점에 대한 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교육정책에서의 소통 문제
 Ⅱ. 유・보 통합 논란과 누리과정 시행의 배경
  1.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논란의 과정
  2. 유・보 통합에 대한 학계의 찬, 반 논의
 Ⅲ. 유・보 통합과 누리과정 담론의 변화 과정
  1. 외국의 유아교육 소개와 유・보 통합 논의 소개 시기: 2001~2010
  2. 누리과정과 보육비 지원에 대한 관심 형성 시기: 2011. 1~7월
  3. 누리과정 확대, 보육비 지원 확대에 대한 관심 시기: 2011. 8.~2012. 1.
  4. 무상보육에 대한 비판 시기: 2012. 2. ~ 2012. 5.
  5. 보육비 지급 변화에 대한 관심 시기: 2012. 6 ~ 2013. 3
  6. 유・보 통합 쟁점에 대한 담론 형성 시기: 2013. 3 ~ 2013. 8
 Ⅳ. 논의: 사회적 소통에서의 문제점
  1. 교육적 쟁점에 대한 대화 부재: 이해의 비확장
  2. 개인화, 물질화로의 왜곡: 공공성의 상실
  3. 정치권의 이해관계: 비합리적 의사소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숙경 Jeon, Suk Kyung. 명지전문대학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