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upport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who has experienced career break in closed detention facility blocked from out side world for a long time to live healthy as a member of local community after release. Therefore, the research took place to analyze elements that social support and self reliance they are facing because of the special circumstances while they are preparing employment or entrepreneurship effect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633 papers were answered with 93% recovery rate out of 680 papers to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under protection of 19 institutions excepting 3 branches with having teenage project out of 22 institutions such as 14 national offices, 1 center and 7 local offices of the Korea judicial affair preservation welfare agency from 29th of oct. 2012 to 16th of nov. 2012 for 3 weeks. 595 people excepting 38 papers with no answer or wrong answer were subjected for the study. The data process used SPSS 18 program to evaluate frequency analysis, cause analysis, reliability measure,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evaluated hypothesis is as followed.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fo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nd self reliance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almost all types as sex, age, education, detained number, detained time, marriage status and type of crime of social support and self relia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were shown as female higher than male in all element of sex while self control and desire for labor in age were shown differences. Education, detained number and type of crime showed differences in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self control and desire for labor while detained time showed in material physical support and marriage status showed in social support.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in personal characteristic of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almost all characteristics as sex, age, education, detained number, detained time, marriage status and type of crime have shown meaningful differences. Female was shown higher than male in all element of sex, age showed it in ability of collecting profession information, ability to solve problems, education and detained marriage status, type of crime showed it ability to set a goal, ability of collecting profession information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detained tim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ability to set a goal and ability to collect profession information. Third, as result social support and self reliance of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effect on career decision efficacy emotional support which is low factor of social support has shown its influence over ability to set a goal while physical support has shown its influence over ability to collect profession information. Self reliance also has been proved to influence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while desire for labor and self control to ability to set a goal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have shown their influences. Such result leaves many following researches and political proposals. First, compared research for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of normal people and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s is required. Second, as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was found in the result of the study, social policy to provide community support for rehabilitation protection recipient to have attention and support from friends and family since the time of imprisonment. Third, dependent research to testify efficacy through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customed employment program that improves self reliance and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Four, as efficacy of successful employment package for suitors in academic background is proven, it should be extended and Psychic counseling program to raise adaptability for long term employment should be reinforced.
한국어
오랜 시간 외부세계와 차단되어 폐쇄된 수용시설에서 진로단절을 경험한 갱생보호대상자들이 출소 후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출소자들이 재범 없이 성공적으로 사회에 재진입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취업이나 창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취업이나 창업을 준비하며 그들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부딪히는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가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목적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갱생보호대상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에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갱생보호대 상자의 개인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 범수, 총 수감기간, 혼인상태, 범죄유형 등 모든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성별은 모든 요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모든 연 령대에서 자기통제와 근로의욕에서 차이를 보였다. 학력, 범수, 범죄유형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자기통제, 근 로의욕에서 차이를 보였고, 총 수감기간은 물질적 지지, 혼인상태는 사회적 지지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갱생보호대상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학 력, 범수, 총 수감기간, 혼인상태, 범죄유형 등 모든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성별은 모든 요인에서 여 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직업정보 수집능력, 문제해결 능력에서 차이를 보였다. 학력, 범수, 혼인상태, 범죄유형에서는 목표설정 능력, 직업정보 수집능력, 문제해결 능력에서 차이를 보였고, 총 수감기간은 목표설정 능력 , 직업정보 수집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갱생보호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가 진로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먼저, 정서적 지지가 목표설정 능력에, 물질적 지지가 직업정보 수집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자립의지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근로의욕이 직업정보 수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 었으며, 자기통제가 목표설정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연구 결과는 많은 후속 연구와 정책적 제언을 남긴다. 첫째, 일반인과 갱생보호대상자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연구결과에 도출 된 바 갱생보호대상자들에게 사회의 관심과 지원, 가족, 친구 등 인적 지지기반을 통한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교도소 수감 당시부터 사회적 지지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 받침이 필요하다. 셋째, 자립의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개인별 맞춤 취업지원 프로그램 도입과 시행으로 그 효과성 검증을 위한 종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출소자들에 대한 취업성공패키지의 효과성이 검증되고 있으므로 이를 더욱 확대해야 하고, 특히 장기근속 방안 등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심리·상담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