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 제안에 따른 평가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Evaluation for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pplied with Scarf Design Proposals

서옥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n evaluative analysis is conducted upon scarf designs proposed in “A Proposal for Scarf Design Apply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published in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December 201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differences between the evaluations of six (6) different scarf designs by a group of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studies versus a group not majoring in this discipline — by the criteria of preference, aesthetics, originality, and purchase intention — and to discover how the aesthetics and originality of a product affe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Ultimately, the study aims to produc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that satisfy consumers’ needs and desires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to (i) discover any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s of scarf designs between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studies versus non-majoring students and (ii) discover how evaluations of the aesthetics and originality of each scarf design affe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included six different scarf product designs. The actual product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 for evaluation concerning their preferences for the products, aesthetics, and originality of design, followed by a measurement of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se qualitie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respondents’ evaluation of preference, aesthetics, originality, and purchase intention for each design, measur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with the respondents viewing the actual products themselves. In the evaluative analyses for each scarf design, the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studies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than non-majoring students with respect to preference, aesthetics, and originality, across all designs. In other words, while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studies displayed a correlation between the originality of a product’s design and their purchase intention — leading to an increase in purchase intention for products they found to be original in design — the perceived originality of a product did not generally have an effect on actual purchases. These results yield the conclusion that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a product’s design is more likely to increase actual sales of the product.

한국어

본 연구는 앞서 ‘브랜드디자인학연구’(2013.12)에 게재된 ‘우리나라 전통 문양을 응용한 스카프 제품 디자인 제안’에서의 스카프 디자인에 대한 평가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의상학과 학생들과 비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가지 서로 다른 스카프 디자인들에 대한 평가( 선호도, 심미성, 독창성 및 구매의도)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밝히고 더불어 심미성과 독창성이 선호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며 연구 과제는 첫째,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스카프 디자인별 평가의 차이와 둘째, 스카프 디자인의 심미성과 독창성 평가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6종류로 제작된 스카프 디자인의 실물을 제시하여 각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및 심미성과 독창 성을 평가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선호도, 심미성, 독창성 및 구매의도 문항으로 모두 5점 리 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제시된 스카프 디자인의 실물을 보고 설문지에 응답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스카프 디자인별 평가분석에서는 디자인에 관계없이 선호도 및 심미성과 독창성 평가 모두 의상 전공자가 비 전공자보다 더 높은 평균을 보였다. 또한 스카프 디자인이 아름답다고 느낄수록 선호도가 높아지는 반면, 디 자인에 대한 독창적 평가는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상 전공자의 경우에는 독창적인 디자인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독창적인 디자인이라고 느낄수록 구매의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독창적이라 평가하는 것이 구매에 영향 을 미치지는 못하므로 심미성이 높은 디자인을 우선적으로 개발하여야 소비자가 구매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한국 전통문양을 응용한 스카프 디자인 제안
  2.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2. 한국 전통문양의 유형 및 스카프 디자인 제안
 3. 스카프 디자인의 평가 분석
  3.1. 전공에 따른 스카프 디자인별 평가 분석
  3.2. 스카프 디자인의 심미성과 독창성 평가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옥경 Suh Ok Kyung. 가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