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인 남·녀 탈모 자가인식에 의한 두피관리실태 연구

원문정보

The research about Scalp treatments by self-recognition of adult's losing hair

김미정, 정숙희, 심선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random sample of adults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The collected material is used by the SPSS version 12.0. The frequency, percentage, examination were applied for studying. We separated the group of safety, general management, real hair manage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 about scarp and hair problems. There is highly understanding about the hair problem that if someone has really sensitive scalp or who has dandruff or who has thin hair or who has someone has hair losing problem in their family. Usually, the group has highly understanding of hair problem, they consult about their hair and scalp with expert. They have a really good attention about the mass media(TV, Internet, Newspaper, Magazine) for scalp and hair health. They reduce using hair products. They always read hair product brochure first and use it. They don't eat fast food frequently. The survey has shown high levels of article. Now the research showed us that s have a strict connection between self-recognition and scalp treatments. That means someone has understanding hair problem then start treatment firs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성별, 직업별, 모발의 굵기 등 다양한 탈모의 원인들을 통한 자가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두피관리 행위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부산․경남지역 에 거주하는 20대와 30대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빈도, 백분율, χ2검정 등을 적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분석 결과로 탈모에 관한 자가인식이 두피관리의 행위요인으로 귀결시킴으로써 연구대상자의 행위정 도를 가름할 수 있었다. 이는 20대와 30대에서도 탈모에 관한 자가인식이 높을 수록 두피관리행위 또한 잘 실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탈모에 관한 자가인식은 두피관리와 밀접한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본론
  1. 연구방법
  2. 연구결과
 3.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미정 Mijung Kim. 경남정보대학교 미용계열
  • 정숙희 Sookhee Jung. 경남정보대학교 미용계열
  • 심선녀 Sunnyu Shim. 경동대학교 의료뷰티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