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장애인 건강격차의 문제와 건강지표 활용추세 : 발달장애인의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Health Disparity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Utilization of Health Indicators: Focusing on Health Problem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verse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and unmet health needs. Health disparities are evident betwee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ID) and the general population. Compared to non-ID groups, there is a higher prevalence rate of mortality and adverse conditions such as obesity, dental ill-health, epilepsy and polypharmacy in people with ID. In addition to their poor health status, they experience considerable disparities in health promotion, and in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Recently in EU and US, to improve health surveillance systems for people with ID, and to reduce their health disparities, health indicators for people with ID was organized and utilized. Health indicators for people with ID(such as POMONA) contains key domains of determinants of health disparities, including categories of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health car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the right to be as healthy as anyone else. Health indicators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used to collecting health data and to monitoring and improving their health status.

한국어

지적장애인과 같이 발달상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육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 대한 커 다란 건강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건강증진이나 의료보건체계의 접근성 면에서 소외되고 있는 대표적인 건강 취약 집단이다. 이들은 사망률, 기대수명, 이환율 및 비만, 간질, 구강보건, 다중투약 등의 영역에서 심각한 건강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예방과 교육 등 의 건강증진활동 및 보건의료전문가들과의 접촉에서도 많은 장벽에 직면하고 있는 상 황이다.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는 지적장애인의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개입의 토대로서 포모나(POMONA) 건강지표 등 지적장애인 건강지표를 개발하였다. 지표들에는 건강 격차의 다중성을 반영하여 건강상태에 관한 항목과 건강행동, 활동, 보건의료의 질 등 을 포함하는 건강증진 및 건강관리 접근에 관한 항목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지적장애 인도 다른 사회구성원과 마찬가지로 건강할 권리가 있으며 건강상의 차이가 발생한다 면 그와 관련된 요인의 탐구가 필요하다. 건강감시체계의 활용과 의료체계의 접근성 확보를 통하여 지적장애인의 건강형평성을 증진시키려는 보건의료의 흐름은 우리에게 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차

Ⅰ. 서 론
 Ⅱ. 건강격차의 다중성
  1. 건강불평등과 건강격차
  2. 장애와 건강의 재개념화
 Ⅲ. 지적장애인 건강격차 상황
  1. 지적장애의 정의 및 현황
  2. 건강상태의 격차
  3. 건강증진 및 의료보건 서비스의 격차
   1) 건강증진활동상의 격차
   2) 보건의료서비스에의 접근 및 이용상의 격차
 Ⅳ.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 건강지표
  1. 미국의 핵심지표 (NCI: National Core Indicators)
  2. 유럽연합의 포모나 지적장애인 건강지표
  3.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와 국립 선천적장애 및 발달장애센터의 건강지표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소영 So-Young Lee. 한중대학교(Professor of Social Welfare at Hanzho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