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원전 인허가승인을 위한 사고결말평가에서 지표침적에 의한 피폭의 민감도 분석

원문정보

Importance Analysis of Radiological Exposure by Ground Deposition in Potential Accident Consequences for the Licensing Approval of a Nuclear Power Plant

황원태, 정해선, 정효준, 김은한, 한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potential accident consequence assessments for the licensing approval of LWRs, the ground position of radionuclide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is not allowed into the models, as recommended in the U. 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s regulatory guide. Meanwhile, it is allowed into the assessment models for the licensing approval of PHWRs with consideration of more detailed physical processes of radionuclides in the atmosphere. Under these backgrounds, importance of exposure dose by ground deposition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comprehensively discussed. For potential accidental releases of 137Cs and 131I, total exposure doses were more conservative in case of without consideration of ground deposition than in case of with its consideration. It was because of that the depletion of air concentration resulting from ground deposition is more influential in the contribution to total exposure doses than additional doses from contaminated ground. The exposure doses by the inhalation of contaminated air showed the contribution of more than 90% in total exposure doses, depending on atmospheric stability, release period of radionuclides and distance from a release point. The exposure doses from contaminated ground showed less than 10% at most in contribution of total exposure doses. The ratios of total exposure doses in case of with consideration of deposition to without its consideration for 131I were distinct than those for 137Cs. As the atmosphere is more stable, release duration of radionuclides is longer, distance from a release point is longer, it was more distinct.

한국어

원전의 인허가 승인을 위한 사고결말평가에서 경수로는 미국의 규제지침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방사성물질의 지표침적의 고려를 허용하지 않고 있는데 반해 중수로의 규제지침에서는 이의 고려를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물질의 지표침적에 의한 피폭영향의 민감도를 정량적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가상사고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Cs-137과 I-131의 환경방출에 따른 총 피폭선량을 평가한 결과, 방사성물질의 지표침적과 이로 인한 공기중 농도의 감손을 고려치 않는 경우에 보다 보수적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지표침적에 의한 피폭선량이 총 피폭선량에 미치는 기여는 상대적으로 적은데 비해 지표침적으로 인한 공기중 농도의 감손이 총 피폭선량에 미치는 기여는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대기안정도, 방출기간, 평가거리 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두 핵종 모두 총 피폭선량에 대해 흡입에 의한 피폭이 90% 이상을 차지했으며, 지표침적에 의한 피폭은 기껏해야 10% 미만을 나타냈다. 지표침적의 고려에 따른 총 피폭선량의 감소는 137Cs 보다는131I의 경우에 보다 컸으며, 대기가 안정하고 방출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방출점으로부터 평가지점이 멀수록 감소경향은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사고시 대기확산인자
  2.2 방사성물질의 지표침적
  2.3 피폭선량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원태 Won Tae Hwang. 한국원자력연구원
  • 정해선 Hae Sun Jeong. 한국원자력연구원
  • 정효준 Hyo Joon Jeong.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은한 Eun Han Kim. 한국원자력연구원
  • 한문희 Moon Hee Han. 한국원자력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