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월송포 진성 발굴 의의와 울릉도 수토 출발지 변천사

원문정보

The Meaning of the Excavation of Wolsongpo Jin Castle and the History of Start Place of Protection of Ulreungdo

윤천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lsongpo Jin castle built in the 10th year of Myeongjong in Chosun Dynasty(in1555) was said to be in tact with the walls of the castle until the 1970s, but since 1970s when modern buildings started to be built around it, most of the castle walls fell apart and now, some of its traces are remained. The excavation research which wa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southern part of Wolsongpo Jin castle was included in the land for the road between Mangyang and Jiksan carried forward by Uljin-gun confirmed that the walls of the castle, munji, well, etc. remained in a good shape. Jin castle was built in the southern tip of the sand dune formed along the flat side of the coast and water pipes were connected to the south of the castle to be the natural moat. This is similar to the nearby Uljinpo young and the locations of young, jin & bo castle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The part of eastern walls of the castle was destroyed during the wars later but they are almost identical with the boundary of the land registration number on the land registration map. Measuring the size of the castle by referring to the land registration map, the circumference is 328.8m. The estimated height of the wall of the castle based on the circumference of castle walls and the written documents is between 3.1 ~ 4.7m and the height of the castle wall confirmed through the excavation is around 6m. Inside the castle walls, the well built along with the castle walls remained in a good shape and the discovery of many roof tiles inside the munji confirms that they are from the gate tower seen in the landscape from the late Chosun. The signboard of nearby Daepungheon and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confirmed that Wolsongpo Jin Castle was in charge of the protection of Ulreungdo and Dokdo for 3 years in turn with Samcheok Young. The protection of Ulreungdo started in 1694 caused by An Young Bok s crossing the sea to Japan to claim the territorial ownership in 1693 and continued until 1895. In terms of the start land of the protection, due to the fact that Samcheok Young Jang and Wolsongmanho were assigned as a protection house, in the beginning, it was close to the area with the location of protection house such as Jangori Jin of Samcheok bu, Jukbyeon Jin of Uljin Hyeon and Gusanpo of Pyeonghae gun but later fixed to Gusanpo. The reason was estimated to be that as the knowledge on the maritime route in the East Sea was accumulated, it was acknowledged that Gusanpo was the one that could use the sea flow and sea wind for sailing.

한국어

조선 명종 10년(1555년)에 축성된 월송포 진성은 1970년대까지도 성벽이 비교 적 잘 남아있었다고 전해지지만, 1970년대 이후 주변에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면서 성벽은 대부분 허물어지고 흔적만 일부 남아있는 상태였다. 월송포 진성의 남쪽 일부가 울진군에서 추진하는 망양-직산간 도로 확장공사 부지에 포함됨으로 인하여 추진된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성벽과 문지, 우물 등이 잘 남아있음이 확인되었다. 진성은 해안에 접한 해안평탄면에 형성된 사구의 남쪽 말단부에 구축되어 있으며, 성의 남쪽으로 수로가 연결되어있어 천연의 해자를 이 루는 형태이다. 이는 인접한 울진포영 및 남해안 일대에 위치하는 영ㆍ진ㆍ보성의 입 지와도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성벽은 후대 교란으로 인하여 동쪽 일부가 유실되었으나 지적도상의 지번경계 와 거의 일치한다. 지적도를 참고하여 성의 규모를 추정해 보면 둘레 328.8m 정 도이다. 성벽의 둘레와 문헌기록을 통하여 확인되는 성벽의 높이는 3.1~4.7m 정 도로 추정되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성벽의 폭은 6m 내외이다. 성벽의 안쪽 에는 성벽과 동시에 축조된 우물이 잘 남아있었으며, 문지 안쪽으로 다량의 기와 가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 풍경화에서 보이는 문루에서 흘러내린 것으로 판단된다. 월송포 진성은 인접한 대풍헌 의 현판과 『조선왕조실록』등을 통하여 삼척영과 함께 3년에 한 번씩 번갈아가며 울릉도 ․ 독도 수토를 담당하였던 곳임을 확인하였다. 울릉도 수토는 1693년 안용복의 일본 도해 사건을 계기로 1694년 처음 시작 되어 1895년까지 계속되었다. 수토사의 출발지는 삼척영장과 월송만호가 번갈아 수토관으로 파견되는 관계로 초기에는 삼척부의 장오리진, 울진현의 죽변진, 평해 군의 구산포 등 수토관의 위치와 인접한 지역이었으나, 후기로 오면서 구산포로 고정되었다. 이는 동해의 항로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면서 울릉도과 가장 가깝고, 항해에 해류와 해풍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 구산포임을 파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월송포 진성 발굴조사 성과
  1. 유적의 입지와 환경
  2. 조사내용
 Ⅲ. 역사적 검토
  1. 문헌자료 검토
  2. 관련유적 검토
 Ⅳ. 울릉도 수토 출발지 변천
  1. 울릉도 수토의 시기
  2. 울릉도 수토 출발지 변천
 Ⅴ.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윤천수 Youn, Cheon Su. 삼한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과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