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울릉도 수토와 삼척영장 장한상

원문정보

The Protection of Ulreungdo Territory and the General of Samcheo-yeong, Jang Han Sang

손승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grounds that Dokdo belongs to Japan, Japan argues in the homepage of the Department of Diplomacy that there was no evidence that Korea recognized Dakeshima (Dokdo) from old times and Chosun s evacuation of residents from Ulreungdo in 1403 was the proof that Chosun abandoned Dokdo. It is true that as the Japanese argue, Chosun evacuated residents from Ulreungdo and made Ulreungdo uninhabited. However, the reason was that it was a measure to prevent Ulreungdo from being the center of the Japanese invasion. After making Ulreungdo uninhabited, Chosun dispatched Usanmureungdeungcheoanmusa and Sunshimgyeongchagwan and in the late Chosun, the officer to protect the territory was sent out to maintain Ulreungdo and Dokdo. The detailed records on the first officer to protect the territory, Jang Han Sang, were held in 『Ulreungdo』and 『The Historical Landmark of Ulreungdo』. The records show plans, purposes and details of the protection of the territory and the alert against Japan. It was known that the system of the protection of the territory started to prevent the Japanese invasion of Ulreungdo after the kidnapping of An Yong Bok and the plan was to relocate residents to Ulreungdo and set up a military camp. However, the relocation of the residents to Ulreungdo was not realistic. Therefore, the protection of the territory was conducted regularly. In addition, 『Ulreungdo』and 『The Historical Landmark of Ulreungdo』state that From Ulreungdo, Daekwanryeong was seen and the island was seen to the South East and the island was known to be Dokdo. These confirm the falsehood of the Japanese argument in the homepage of the Department of Diplomacy that there was no evidence that Korea recognized Dakeshima from old times and also confirm that the system of the protection of territory, Ulreungdo, was actually executed in the late Chosun to regularly maintain Ulreungdo and Dokdo.

한국어

일본에서는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근거로, 외무성 홈페이지에서 한국이 옛날부 터 다케시마(독도)를 인식하고 있었다는 근거는 없다 는 것과 1403년 조선의 울 릉도 주민쇄출 은 조선에서 독도를 포기한 증거라고 주장한다. 일본의 주장대로 울릉도에서 주민을 쇄출하여 울릉도를 무인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무인화의 이유는 울릉도가 동해안 왜구침탈의 중간 거점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그리고 무인화이후 우산무릉등처안무사 와 순심경차관 을 파 견했고, 조선후기에는 수토사 를 파견하여 울릉도와 독도를 관리했다. 최초의 수토사였던 장한상의 기록은 『울릉도』와 『울릉도사적』에 상세하다. 이 기록들을 통해 울릉도 수토계획 및 목적, 구체적인 수토내용, 수토당시의 독도확 인과 왜에 대한 경계 등을 알 수 있다. 수토제의 시작은 안용복 피랍사건이후, 왜 인의 울릉도 침탈을 막기 위해, 울릉도에 주민을 이주시키고, 진을 설치할 계획을 가지고 실시하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주민의 울릉도 이주가 어렵게 되자, 수토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울릉도』나 『울릉도사적』의 내용 중에 울릉도에서 대관령이 보이고, 동남쪽으로 섬이 보인다 는 기록을 통해 그 섬이 독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의 한국이 옛날부터 다케시마를 인식 하고 있었다는 근거가 없다는 기술의 허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선후기 울릉 도 수토제가 조선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정기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실시했던 제도 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수토계획과 목적
 Ⅲ. 울릉도 수토 현황
 Ⅳ. 독도확인과 왜에 대한 경계
 Ⅴ.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손승철 Son, Seung Cheul. 강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