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oster Session

TAM 모델을 활용한 단말기간 직접통신 기술의 수용요인 분석

초록

한국어

이동통신 사업 분야의 새로운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수용적인 의도에 따라서 신규 서비스의 이용 및 성공적이 요인에 영향을 미치게 된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vice-to-Device 기반 신규 서비스 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및 기술 수용 모델인 TAM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구조 방정식은 다변량 분석 기법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 하는데에 사용되는 통계적인 분석방법이 다. 다양한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다. 구조방정식의 경우 기존의 TAP 모델을 활용한 설문조사의 경우 요인과 변인들 간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는 모델로써 구조 방정식을 활용한 모델 사용이 적합하 다. 이에 본 연구는 TAM 모델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단말 간 직접적인 통신의 새로운 기술에 대하여 사용자의 수용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도록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Device-to-Device 수용 모델
  2.1 Device-to-Device 수용 모델 개요
  2.2 TAM모델 적용 변수 설정
  2.3 연구 모형 설정
 3. 가설설정
  3.1 비용가치
  3.2 사용편의성
  3.3 보안성
  3.4 자원의 효율성
  3.5 지각된 유용성
  3.6 지각된 사용용이성
  3.7 가치
 4. 가설 검증
 5. 결론
  5.1 설문 항목 신뢰도 측정
  5.2 구성 개념 간 상관 분석
  5.3 경로분석 평가
  5.4 검증 결과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광원 중앙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류승완 중앙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박세권 중앙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