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전기전자기술 단원에서 활용할 ‘뮤직 로봇’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STEAM Instruction Material for Electricity and Electronic Technology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우상호, 김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EAM instruction material of ‘make Music Robots' i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courses in 2009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us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integrative education through STEAM.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hases: preparatio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t was performed using PDIE model. In this process,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developed instructional materials learning content guideline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learners were applied by the expert group to evaluate the valid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materials as a learning guidance, PPT, and explanation materials was developed as a student worksheet, or developed workbook was applied to the field. Second, STEAM instruction materials utilizing the results in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were analyzed. Third, PDIE and STEAM model was developed taking advantage of instruction material by experts who assess the validity of the result. The experts point out all areas that appeared highly in analytical validity and improved things to supplement their classroom materials has modifying according to the STEAM.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기술 교과의 ‘뮤직 로봇’ STEAM 수업자료 개발에 의한 통합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STEAM 수업자료 개발을 위해 이 연구는 PDIE 절차 모형에 따라서 준비(Preparatio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네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뮤직 로봇’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자료로 학습과정안, 프리젠테이션 자료, 활동지의 답안자료 등을 개발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고, 학생들 스스로가 수업의 내용을 파악하고 탐구할 수 있는 자료로 학습안내지, 활동지인 두 가지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STEAM 수업자료의 검증을 위해 전문가 타당도 검사지와 학생 수업만족도 검사지를 개발하여 검증한 결과는 전문가 타당도가 평균 4.41점으로 나왔고, 학생의 수업만족도는 4.75점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수업자료는 타당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발된 ‘뮤직 로봇’ 만들기를 통한 STEAM 수업자료는 학생들에게 학습동기 부여와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저자정보

  • 우상호
  • 김진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