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여교사의 학습양식에 따른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의 성과 차이 연구

원문정보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Journal Writing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Style of Female Prospective Teachers

서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academic achievement and explored whether or not the effect is different according to women prospective teachers' learning style. 175 women'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pre-test and post-test designed for two experimental groups(a concept mapping group and a reflective journal writ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according to prospective teachers' learning styl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cept mapping or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not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convergers who created concept mapping or reflective journal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exam. Divergers who created concept mapping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exam than divergers who wrote reflective journal. This study indicated that concept mapping might be an effective strategy to convergers and divergers whereas reflective journal writing might be effective to convergers but ineffective to divergers.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여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념도와 성찰일지 학습전략의 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전략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하고 미래의 학생들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175명의 예비여교사들을 개념도 전략 집단, 성찰일지 전략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을 다시 Kolb의 학습양식에 따라 분류한 후 시험을 통해 학습 성과를 측정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개념도는 학습 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성찰일지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양식별 학습전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렴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와 성찰일지 전략 모두 학습 성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자의 학습양식을 가진 예비교사들에게 개념도 전략은 학습 성과에 효과적이나, 성찰일지 전략은 비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정보

  • 서은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