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능에 대한 신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on Achievement Motive: Mediating Effect of Self-Handicapping and Ego-Resilience

김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ego-resilience, and self-handicapping affects achievement motivation.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in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influenced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ose who believed that intelligence could be improved through efforts showe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Ego-resilience and self-handicapping were also highly related with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other words, those who believed intelligence is changeable showed higher ego-resilience and less self-handicapping; those with higher ego-resilience and less self-handicapping showe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setting these two variables as the mediating variables of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educate students that intelligence can be improved through efforts in order to raise achievement motivation. This is based on the result that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affects ego-resilience and self-handicapping even though it is not a noticeable variable; and implicit theory influences achievement motivation, mediated by these variabl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ollowing studies were added at the end.

한국어

본 연구는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자아탄력성, 자기구실 만들기가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은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쳐 지능이 노력에 의해 변화가능하다고 믿을수록 성취동기가 높았다. 자아탄력성과 자기구실 만들기도 지능에 대한 신념, 성취동기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즉 지능이 변화가능하다고 믿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으며 자기구실 만들기를 적게 하고, 자아탄력성이 높고 자기구실 만들기를 적게 할수록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변인을 지능에 대한 신념과 성취동기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성취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능은 노력에 의해 변화 가능한 것이라는 신념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은 현상적으로 두드러지는 변인은 아니지만 자아탄력성과 자기구실 만들기에 선행하여 영향을 주고 이러한 변인을 매개로 하여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저자정보

  • 김지경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