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학생들의 음악줄넘기가 신체구성과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music rope-jumping

박경애, 김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th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according th the music rope-jumpi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male and female). In the physical fitness aspec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0 students(man 32, woman 18)who inhabits in Seoul. The tools of this study was 12week music rope-jumping program, physical fitness test(push-ups, flexibility, balance, and grip power), and body composition(weight and %fat).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descriptives, paired t-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of students' weight as a function of 12 week music rope-jumping at p>.05 level. But, there was a difference of students' %fat as a function of 12 week music rope-jumping at p<.001 level.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of students' physical fitness(flexibility) as a function of 12 week music rope-jumping at p<.05 level.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of students' weight as a function of sex on 12 week music rope-jumping at p>.05 level. But, there was a difference of male students' %fat as a function of sex on 12 week music rope-jumping at p<.001 level.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of students' physical fitness(grip power) as a function of sex on 12 week music rope-jumping at p<.05 leve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줄넘기 운동을 초등학교 남여 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하고 초등학교 아동들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비만치료와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체력증진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소재 C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2~5학년 학생으로서 남 32명, 여 18명 총 5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의 동의를 얻은 후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12주간의 음악줄넘기, 신체구성에 체중, 체성분(%fat)이고, 체력요소에는 팔굽혀펴기, 유연성, 평형성, 악력으로 구성되었다. 유산소운동과 스트레칭 체조 실시 전, 후 측정된 자료와 신체구성, 체력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SPSS 15.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 후 시기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수락기준은 α=.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집단에서는 신체구성에서 체중에서는 감소한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 않았으나, 체지방량에서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 체중의 통계적 감소 없이 체지방량이 줄어든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전체집단의 체력요소에서는 유연성에서 p<.05 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신체구성의 차이 역시 체중에서는 평균에서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체지방량에서는 남자 집단에서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체력요소의 차이에서는 악력에서 여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저자정보

  • 박경애
  • 김성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