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미술교육의 현재와 새로운 도전

원문정보

THE PRESENT AND THE NEW CHALLENGE FOR KOREAN ART EDUCATION

이성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Art Education has suffered many drastic changes: the shortening of teaching hours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Art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 a transfer from a required course to an elective course for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of Korean high schools, control-and-intervention-centered Art education policies and administr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Art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 the turnaround of the art education department in the teachers' college into art department which belongs to college of arts, announcement of the change in evaluation methods in 2003; and the notification of revision in the change of evaluation methods and the methods of recording evaluation in 2007. The alternatives to these changes are the change of general recognition about National Art Education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eachers' expertise, along with strengthening of the justification. Besides,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for National Art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s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the culture-centered 21th century. Efforts to secure the basic teaching hours and to secure the facilities and space is to follow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To improve the National Art Education through a dynamic execution of art education at school, smooth solution of the problems concerning the governmental policies, the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nd art eduction teachers is necessary. Reforma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universit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ollege should be done whil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Art Education Research are used to induce the change in the on-the-job education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한국어

오늘의 미술교육은 제6차 교육과정의 수업시수 단축, 제7차 교육과정의 고2, 3학년 선택교과로 전환, 규제와 간섭 중심의 미술교육정책과 행정, 다수의 사대 미술교육과의 일반미술과로 전환, 2003년 평가방식 전환정책 발표와 2007년 평가방식 전환과 평가기록 방법 변경의 훈령 개정고시 등 바쁜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대안은 교과교육의 정당성을 강화하면서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전환과 함께 교사의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21세기의 문화 중심시대에 부응하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의 방법론을 개발하여 새로운 변화에 대응해야 하며 기본 시수 확보를 위한 노력과 물리적 시설과 공간 확보가 따라야 한다. 학교현장의 역동적인 수업을 통한 미술교육의 진흥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이나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등 여러 문제도 원만하게 해결해야 한다. 교사 양성기관인 교․사대의 개혁과 변화도 수반되어야 하고 또한 미술교육학의 학문적 연구 성과도 현장교육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저자정보

  • 이성도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