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ffects on milk yield in Holstein
Holstein종의 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year, age of dam at calving, farm and lactation period on milk yield with the data of 4,008 cows' records which were collected at 32 farms by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from 1985 to 1989.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dairy cattle in the study were in actual milk yield, months in age of dam at calving, months in age at first calving and days in lactation period. 2. The percentages of variance component for different sources were 29.39% for the residuals, 1.91% for years, 4.86% for age at calving, 8.89% for farms and 54.94% for lactation period. 3. The overall mean of least-square estimate on the milk yield was 6,229.31kg. In the effects of year, the least-square means of milk yield were estimated 6,000.76kg in 1985-1987, 6,028.11kg in 1988 and 6,659.07kg in 1989. 4. The least-square means of calving age on the milk yield were estimated 5,456.01kg in less than 24 months, 6,565.48kg in 61-66 months which were the highest least-square means. This effects were gradually increased until the 61-66months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the 61-66months, with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months of age at calving(p<0.01). 5. In the effects of farm, the least-square means of milk yield were estimated 4,959.50 kg in the lowest farm and 7,497.07kg in the highest farm. Among the milk yield of each farm the effects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6. The least-square means of milk yield in the effects of lactation period were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lapse of the lactation period. Among the lactation period the effects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종축개량협회(韓國種畜改良協會)에서 1985년-1989년 사이에 일반(一般) 낙농농가(酪農農家)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유능력검정자료(産乳能力檢定資料) 4,008두(頭)의 기록(記錄)을 이용(利用)하여 유우(乳牛)의 주요경제형질중(主要經濟形質中), 유량(乳量)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중(環境要因中) 년도(年度), 분만연령(分娩年齡), 농가(農家), 착유(搾乳) 기간효과(期間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능력(一般能力)에 있어서 각(各) 형질(形質)의 평균치(平均値) 및 표준편차(標準偏差)는 실유량(實乳量)이 , 분만연령(分娩年齡) 개월(個月), 초산월령(初産月齡) 개월(個月) 그리고 착유기간(搾乳期間) 일(日)이였다. 12. 최소자승법(最小自乘法)에 의해 추정(推定)된 전체(全體) 분산(分散)에 대한 각(各) 요인별(要因別) 분산성분(分散成分)의 비(比)는 년도(年度)가 1.91%, 분만연령(分娩年齡)이 4.86%, 농가(農家)가 8.89%, 착유기간(搾乳期間)이 54.94% 그리고 오차(誤差)의 분산비(分散比)가 29.39%로 나타나 착유기간(搾乳期間)의 효과(效果)가 가장 큰 것으로 나다났다. 3. 유량(乳量)에 대한 전체의 최소자승효과(最小自乘效果) 추정치(推定値)는 6,229.31kg이였고, 년도별효과(年度別效果)에 있어서 최소자승(最小自乘) 평균치(平均値)는 1985년-1987년이 6,000.76kg, 1988년 6,028.11kg, 1989년 6,659.07kg이었다. 4. 분만연령별효과(分娩年齡別效果)에 있어서 24개월령이하(個月齡以下)는 5,456.01kg, 61-66개월령(個月齡)은 최고치인 6,565.48kg으로 분만년령간(分娩年齡間) 고도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분만연령별(分娩年齡別) 효과(效果)에 있어 24개월령이하(個月齡以下)에서부터 61-66개월령(個月齡)까지 점차 증가(增加)하다가 67-72개월령(個月齡)에 저조한 성적을 보이며 이상치를 나타냈고, 그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농가별효과(農家別效果)에 있어서는 최소자승(最小自乘) 평균치(平均値)에 있어 가장 낮은 농가(農家)에서는 4,958.50kg에서 가장 높은 농가(農家)는 7,479.07kg으로 비교적 변이(變異)가 심하였고, 이는 고도(高度)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6. 착유기간별효과(搾乳期間別效果)에 있어서 착유기간(搾乳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최소자승평균치(最小自乘平均値)가 증가(增加)하는 면을 보였으며 착유기간(搾乳期間)에 따른 실유량평균간(實乳量平均間)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