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의 보리害虫에 關한 硏究

원문정보

Studies on the Insect Pests of Barley in Korea

한국의 보리해충에 관한 연구

권용정, 안승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provide a systematic approach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insect pest management program of barley in Korea. Some ecological surveys on insect pests of barley have been undertaken at the field of Experimental Station, Kyngbuk Provincial Office of Rural Development as a fixed point survey area, and at 23 localities for round survey throughout southern and central Korea from 1983 to 1984. Previously known insects injurious to barley in Korea were revised and the population dynamics of 10 dominant harmful spec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ither 24 localities or 25 cultivars respectively by using several sampling methods of net sweeping, black light traps, yellow water pan traps and visual counting. As the results, a total of 94 species belonging to 77 genera under 32 families are known to be injurious to barley, among them 20 species are newly added here. In the population density level, the dominant species were disclosed as Laodelphax striatellus (43.1 %), Macrosiphum avenae(27.0 %), Rhopalosiphum padi(6.5 %), R. maidis(5.4 %), Psammolettix strialus(2.7 %), Chlorops oryzae(2.2 %), Agromyza albipennis(2.1 %) Phyllotreta nemorum(1.4 %), Chaetoenema cylindrica(1.0 %), Dolycoris baccarum(1.0 %) in order. For the general abundance of major insect pests, it was highest in the cultivar P'aldal whereas lowest in Milyang #22. There were tendencies that Psammotettix striatus, Dolycoris baccarum, Phyllotreta nemorum and Chaetocnema cylindrica represented a maximum increase in the beginning of June, while Chlorops oryzae and Agromyza albipennis showed in the middle of May but aphids were in the end of May. In the dominance of natural enemies, Nabis stenoferus occupied 21.4 % and Propylaea japonica 9.6 %.

한국어

본(本) 조사(調査)는 보리해충의 종합관리체계수립(綜合管理體系樹立)에 필요(必要)한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잠재해충을 포함(包含)한 전(全) 해충목록작성 및 주요경계해충의 개체군동태(個體群動態) 파악(把握)과 각(各) 지역(地域) 및 보리품종(品種)에 따른 발생변동요인(發生變動要因)을 조사(調査)코자 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보리해충은 모두 32과(科) 77속(屬) 94종(種)이며 그중 20종(種)이 새로 추가(追加)된다. 우점도(優占度)로 본 주요경계해충은 애멸구, 보리수염진딧물, 기장테두리진딧물, 옥수수테두리진딧물, 알락매미충, 보리굴파리, 벼줄기굴파리, 아시아잎벌레, 밀잎벌레, 알락수염노린재등(等)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보리품종별(品種別) 주요해충의 밀도(密度)는 팔달보리에서 가장 높았고 밀양 22호(號)가 가장 낮았다. 애멸구, 알락매미충, 알락수염노린재, 아시아잎벌레, 밀잎벌레는 6월상순(月上旬), 벼줄기굴파리, 보리굴파리는 5월중순(月中旬), 진딧물류(類)는 5월하순(月下旬)에 각각(各各) 가장 높은 발생율(發生率)을 보였다. 천적(天敵)으로서는 긴날개쐐기노린재가 21.4 %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꼬마남생이무당벌레로 9.6%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주요경계해충이 보리수확기(收穫期)인 5월하순(月下旬)에서 6월상순(月上旬)에 걸쳐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확량(收穫量)에 별 다른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 한 조생종(早生種)을 육종(育種) 보급(普及)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同時)에 이모작(二毛作) 지역(地域)의 조식재배(早植栽培)를 유도(誘導)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밀양22호품종(號品種)에 대(對)한 해충의 저밀도(低密度) 요인(要因)이 화학적(化學的), 물리적(物理的) 또는 생태적(生態的) 저항성(抵抗性)에 기인(起因)하는지 그 여부(與否)를 규명(糾明)하여 장차(將次) 육종연구(育種硏究)에 도입(導入)하는 것이 필요(必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또한 경제적(經濟的) 해충관리를 위해서 보리후작(後作) 작물(作物)인 콩등(等) 전작물(田作物)과 벼로 이동(移動)하는 애멸구, 진딧물류(類), 노린재류(類), 인시류등(鱗翅類等)을 보리밭에서 1차(次) 방제(防除)를 하여 그 밀도(密度)를 저하(低下)시키는 방안(方案)과 각(各) 해충의 경제적(經濟的) 피해수준(被害水準)을 설정(設定)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思料)된다.

저자정보

  • 권용정 Kwon, Yong Jung.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안승락 An, Seung Lak.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