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평가 매체가 유아의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Assessment Media on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곽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sessment media on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how story comprehension as the assessment media is chan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ssessment media affected on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group listening the electronic book was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an the picture book(p<.05).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telling between the group listening the electronic book and the picture book(p<.05).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he group listening the electronic book was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retelling than the picture book.Second, the changing trend of the story comprehension as assessment media appeared gradually increasing linear trend(p<.05). Two groups appeared each increasing linear trend.

한국어

본 연구는 평가 매체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평가 매체는 컴퓨터동화와 그림동화로 두 평가 매체간의 이야기 이해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컴퓨터동화가 그림동화매체보다 더 많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야기 이해력의 하위 평가인 다시말하기에서는 컴퓨터동화 매체가 그림동화 매체보다 더 많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듣기이해력에서는 두 평가 매체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총 10회로 평가한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은 어떠한 변화경향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 두 평가 매체 모두 점진적 향상을 나타내는 1차 경향으로 나타났다.

저자정보

  • 곽다정 Kawk, Da-Jeong. 인천 부평남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