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Peer Competence

박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children's self-efficacy and peer competence appear by their gender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with peer competence as predictor variable, self-efficacy as criterion variabl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29 5-year-old children public kindergartens in P-city,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peer competence, is not appear gender differences. To determine more comprehensively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variables of children's self-efficacy and the sub-variables of peer competence, the study carried out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most predictable on the peer competence sub-variables can be made by using the cognitive self-efficacy which is the best measure for social ability of the peer competence sub-variables. The sub-variable also enables us to predict sense of self-efficacy and peer competence. The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 between both sub-variables, boy's the most predictable sub-variable social spontaneity can be made by using socio-emotional self-efficacy. And girl's the most predictable sub-variable leadership can be made by using cognitive self-efficacy. This results showed to improve children's self-efficacy is need to improve peer competence and for improve children's self-efficacy need variable program for children's enactive mastery experience, teaching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성차가 있는지, 또한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유능성간의 관련성과 성차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의 공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129명이었다. 그 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성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변인군간의 관계 파악을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소인 인지적 영역은 또래 유능성 변인군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며, 또래 유능성 변인군 중 친사회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고, 주도성과 사교성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군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차는 남아는 사회․정서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친사회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인지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주도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 유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아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하며,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성공경험을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의 제공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지도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저자정보

  • 박선미 Park, Seon Mi. 경기 유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