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일반인의 AED 사용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초록
영어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using AED use in South Korea and Japan. Methods :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February 25 to March 4, 2013, receiving responses from 517 people in Korea and 520 people in Japan. The questionnaire included sociodemographic factors, history of heart disease, AED knowledge, and other variable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 Among the 517 Korean respondents, 220 (42.6%) intended to use AEDs. Among the 520 Japanese respondents, 384 (74.4%) had similar intention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und the following significant predictors of intent to use AEDs: gender (odds ratio [OR]=0.419), household income (OR=0.991), and AED knowledge (OR=2.833) in Korea; and gender (OR=0.582), age (OR= 0.968), cardiac disease history (OR=2.099), and AED knowledge (OR=2.984) in Japan. Conclusion : It would be helpful to teach AED use to encourage performing public access defibrill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AED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ountry-specific factors.
한국어
연구 목적 : 한국에서 일반인의 의한 AED의 사용 사례를 극히 드물다. 병원 전 심정지 상황에서 특히 제세동이 필요한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인에 의한 AED 사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AED사용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며, 한일 비교를 통해 사회적 특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2013년 2월 25일부터 3월 4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한국에서 517명, 일본에서 520명의 데이터 를 회수했다. 설문지를 통해 파악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AED에 관한 지식 요인이 AED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 한국의 517 명의 응답자 중 220명, 42.6%만이, 그리고 일본의 520명의 응답자 중 387 명, 74.4%가 AED를 사용해 환자를 도우려는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성별은 유의한 요인이었다(한국 odd ratio[OR] = 0.419, 일본 OR = 0.582). 양국 모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AED를 사용해 환자를 도우려고 하지 않았다. AED에 관한 지식은 양국 모두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었다. 국가 간의 차가 있었던 요인은 우 선 연령이었다. 연령 요인이 한국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젊을수록 AED 사용의사가 높았다(OR = 0.968). 또한 일본에서는 심장병력이 유의한 요인(OR=2.099)이었다. 결 론: 본 연구는 AED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AED에 관한 지식임을 밝혔다. 따라서, 병원 전 심정지 상황에서 제세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AED 설치와 함께 사회적 요인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1. The need for research
2. Purpose of research
Ⅱ. Methods
1. Research design
2. Research target
3. Research tool
4. Data collection
5. Data analysis
Ⅲ. Results
1. General characteristics
2. Response ratio for intent to use AEDs by social factors
3.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Korean subjects
4.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Japanese subjects
5. Korean AED location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